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고용시장 완연한 '봄기운'

4월 취업자 56개월만에 최대폭 늘고 실업률 3%대로<br>수출·내수등 민간부문 훈풍<br>지표 위기이전 수준 회복<br>청년실업은 고공행진 여전



마냥 얼어붙어 있을 것만 같던 고용시장에 따듯한 봄기운이 만연하다. 취업자가 4년8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했고 실업률은 넉 달 만에 3%대로 떨어졌다. '희망근로' 등 공공 일자리 사업을 거둬들여도 될 만한 청신호가 곳곳에서 켜졌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지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4월 취업자 수는 2,392만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0만1,000명 증가했다. 2005년 8월(46만5,000명 증가) 이후 56개월 만에 최대 규모다. 실업률은 4개월 만에 3%대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청년실업률이 8%대의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고 실업자 역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고용지표의 취약지점으로 꼽힌다. 연령이 높을수록 취업률이 올라가는 모습도 장기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견해가 있다. ◇고용지표, 위기 이전 수준 회복=전형적인 '경기 후행지표'답게 4월 고용지표는 지난해 말 산업지표가 보여줬던 빠른 경기회복세를 뒤늦게 반영했다. 4월 취업자(2,392만4,000명)는 경제위기 직전인 2008년 4월 수준(2,371만1,000명)을 웃돌았다. 한 달 만에 취업자가 무려 40만1,000명이나 늘어난 점도 반가운 부분이다. 4월 고용지표 훈풍의 견인차는 단연 민간 부문. 가장 건강한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 부문에서 전년 동월 대비 14만5,000명 늘어났다. 정부가 희망근로 일자리를 지난해 25만개에서 올 상반기 10만개로 줄였는데 수치상으로 정부가 줄인 일자리를 민간이 이어받은 것이다. 건설업 취업자도 1만9,000명 증가하며 2007년 7월 이후 처음으로 늘었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수출 증가율이 30%를 넘고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80%를 넘어서는 등 고용 회복 기반이 강화되면서 민간 기업의 구인 수요가 확대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3월 신설법인은 2002년 5월 이후 가장 많은 5,652개로 창업에 따른 일자리 수요도 생기고 있다고 정부는 분석했다. 고용지표 개선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지표 부문에서는 지난해 4ㆍ4분기부터 올 1ㆍ4분기까지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기저효과 덕을 크게 봤는데 이 같은 흐름이 고용지표 부문에서는 4월을 시작으로 3ㆍ4분기까지는 꾸준히 이어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수출이 경기회복을 주도하고 내수도 빠르게 좋아지면서 고용사정이 나아지고 있다"며 "다만 희망근로가 마무리되고 기저효과가 사라지면 하반기에 일자리 창출폭은 축소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청년실업률은 여전히 고공행진=4월 청년실업률은 8.6%로 지난달보다는 0.4%포인트 낮아졌지만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0.6%포인트 높아졌다. 전체 실업률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으로 대졸자의 구직난이 좀처럼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취업자가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했지만 30대와 함께 20대는 감소했다. 20대 감소폭은 8만6,000명이나 됐다. 이 때문에 고용률도 58.4%에 그친 20대만 유일하게 하락했다. 실업자도 30~50대에서 줄어든 반면 20대는 1만1,000명 늘었다. 15~29세의 청년층 실업률은 8.6%로 올해 들어 가장 낮기는 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고졸 이하에서는 실업자가 줄어든 반면 대졸만 늘어난 것이나 취업경험이 없는 실업자가 39.3%나 증가한 것도 청년층 고용 부진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일자리 증가가 주로 50대 이상 장년층 및 노년층에서 주로 이뤄지는 모습도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10만개 수준인 올 희망근로 프로젝트를 예정대로 6월 말로 종료하고 대신 지역일자리 사업으로 5만개 정도의 공공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고용지표가 크게 개선됐음에도 전반적인 거시정책 기조는 당분간 유지할 뜻을 내비쳤다. 임종룡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출구전략이나 전반적인 거시정책기조 문제는 고용도 중요하지만 국내외 경제여건, 생산, 기타 여러 변수를 감안해 종합적으로 결정해야 한다"며 "출구전략은 너무 늦지도 빠르지도 않게 해서 시기를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