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책銀 노조 '정부 구조조정案' 반응 엇갈려

기업銀 "노동쟁의 불사"… 輸銀등선 "합리적 수준"

공기업선진화방안의 일환으로 정부가 인력 구조조정을 내놓은 것에 대해 국책은행 노조들 사이에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28일 금융계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고용안정을 위해 노동쟁의도 불사한다는 입장인 반면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은 자연퇴직 인원을 감안하면 정부안이 합리적인 수준이라고 보고 희망퇴직을 추가 실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대처하고 있다. 기업은행 노조는 지난 26일 '고용안정을 위한 전조합원 쟁의'에 관한 찬반투표를 실시했다. 중간개표 결과 5,318명의 조합원 가운데 ▦찬성 3,855표 ▦반대 594표 ▦무효 5표로 사실상 쟁의가 확정됐다. 기업은행 노조의 관계자는 "정부가 740명을 단계적으로 줄인다고 했지만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일"이라며 "내년부터 상황을 봐가며 필요하다면 노동쟁의에 돌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반면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 노조는 상황을 주시한다는 입장이다. 인력의 자연감소분을 감안하면 무리가 가는 수준은 아닌데다 산업은행은 민영화 등 굵직한 사안이 많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수출입은행은 26일부터 29일까지 희망퇴직을 받기로 했다. 1954년생 이상은 물론 업무 8년차 이상으로 대상을 확대했다. 근속연수 1년당 2개월치의 위로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퇴직을 신청한 인원은 31일자로 퇴직 발령이 난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다른 국책은행과 달리 기업은행은 시중은행과 경쟁해야 하는데다 정부가 중소기업 지원업무를 강화하라고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인력을 줄이라는 것에 반발하는 것으로 안다"며 "중기 지원업무가 절실한 만큼 정부의 유연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