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지정된 수도권 4곳은 경기도 화성지구를 제외하고선 2곳은 분당과, 한곳은 일산 신도시의 근교에 위치해 있다. 이에따라 그렇지 않아도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신도시의 생활환경이 이들 미니 신도시의 개발로 한층 더 열악하게 되지나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현재 수도권 5개 신도시 가운데 분당과 일산은 도시개발이 완료돼 더 이상 인구의 신규유입이 불가능하다. 분당은 9만7,600가구에 인구 39만명, 일산은 6만9,000가구에 27만6,000명으로 포화상태다. 그런데 이들 인근지역에는 이미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선 데다 이번에 또다시 택지개발 예정지구가 지정됨에 따라 또 한차례의 인구집중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정된 도시기반 시설에 인구의 신규유입은 각종 부작용을 야기시킨다. 난(亂)개발로 도시가 기형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
우선 가장 큰 부작용은 교통문제다. 지금도 출퇴근 시간대의 분당·일산 길은 서울로 출퇴근하는 차들로 모든 도로가 꽉 막히다시피 하고 있다. 여기에 신규로 용인의 구성·보라지구 등 2곳에 1만6,700가구 5만1,800명, 일산 2지구에 7,000가구 2만4,500명이 들어설 경우 교통혼잡도는 불을 보듯 뻔하다. 상수도 공급량 부족도 심각하다. 오는 2006년께는 수도권 일대의 상수도 공급량이 한계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학교시설을 비롯, 각종 편의시설 부족도 입주민들이 감수해야 할 고통 가운데 하나다. 제2의 분당으로 인기가 높은 용인 수지지역은 학교 등 도시기반 시설이 채 갖춰지지 않아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자연히 인근의 신도시가 영향을 받게 돼 있다. 이같은 문제점은 지방의 5곳이라 해도 크게 다를바가 없다. 미니신도시가 자칫 난개발이 되지나 않을까 우려되고 있는 것도 바로 이같은 까닭이다.
이제는 아파트만 짓는 신도시 개발은 지양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주택정책은 보급에만 신경을 쓰다 보니 다른 것은 고려할 여유가 없었다. 그러나 오는 2002년에는 주택 보급률이 100%대에 이르게돼 한숨을 돌릴 수 있게 된다. 생활기반시설부터 확충, 도시를 개발해야 한다. 주변과의 조화라든가, 환경친화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뜻이다. 도시개발이 더 이상 난개발로 멍들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