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수출입銀, 건설∙조선∙해운 등 3대 취약산업에 총5조원 금융지원

한국수출입은행이 세계 경제 침체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조선∙해운 등 3대 취약산업에 총 5조원의 금융을 지원한다.

수출입은행은 29일 서울 여의도 63빌딩 컨벤션센터에서 ‘중소∙중견 해외건설업계 초청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발표했다.


수은은 우선 기술력과 프로젝트 사업성을 지닌 중소∙중견 건설사의 해외진출을 돕기 위해 1조원의 금융을 제공하기로 했다.

중소∙중견 건설사의 해외건설 공사에 대한 이행성보증을 발급할 때 무담보 신용취급을 크게 늘리기로 했다. 이행성보증은 건설공사계약 이행 전 발주자가 요구하는 은행보증서다.이는 신용도가 낮은 기업도 우수한 사업에 참여하면 기업재무상태나 담보 등을 고려하지 않고 신용취급을 해주겠다는 의미다.


세계은행∙아시아개발은행 등 재원이 확실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중소∙중견 건설사에는 수출팩토링을 제공한다. 수출팩토링은 해외건설공사에서 발생하는 기성대금 매출채권을 금융기관이 매입, 건설사에 자금을 지원해주는 제도다. 건설사 입장에서는 재무구조 개선과 유동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관련기사



국내 조선∙해운업계에 대한 금융 지원도 강화한다.

수은은 선박발주 감소와 유럽계 은행들의 선박금융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조선사들에게 총 3조5,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그동안 일률적으로 적용해왔던 소진한도 방식과 함께 회전한도 방식을 새롭게 선박제작 금융에 적용한다. 회전한도는 잔액 한도를 설정하한 후 그 범위 안에서 마이너스 통장처럼 언제든지 대출금을 갚으면 새로운 한도가 생기는 방식이다. 이번 회전한도 도입으로 연간 2조원의 한도 확대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수은은 설명했다.

유동성 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해운사에는 총 5,000억원의 금융을 지원한다.

수은은 기존의 외항선박구매자금, 중고선박구매자금, 포괄수출금융 외에 외항선박운항자금을 새로 도입하기로 했다. 외항선박운항자금은 국내 해운사가 용선주와 장기간의 운항 계약을 맺고 배를 운항할 때 생길 미래의 운송료 수익을 담보로 운항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수은 관계자는 “건설∙조선∙해양 부문은 우리나라 주력 수출산업이자 고용창출 등 전후방 파급효과가 큰 경제의 버팀목”이라면서 “대내외 경기회복 지연과 민간금융기관들의 금융 지연 축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들 산업에 대해 적극적인 금융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