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7·28 재보선] 민주 치열한 당권경쟁 예고

공천실패가 패배 원인…지도부 책임론 커질 듯


7ㆍ28재보선이 민주당의 완패로 끝나면서 오는 8월 말이나 9월 초 전당대회를 앞두고 치열한 당권싸움이 불가피해졌다. 무엇보다도 재보선 패배 원인이 공천실패 쪽으로 귀결되면서 지도부의 책임론은 커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다 서울 은평을과 충북 충주에서 정권심판을 위한 야권단일화 카드를 꺼냈지만 실패했고 송영길 인천시장이 3선을 하며 민주당 지지기반이 공고했던 인천 계양을 마저 한나라당에 내준 것이 민주당으로서는 뼈아프다. 또 광주 남구에서는 장병완 후보가 당선되기는 했지만 오병윤 민주노동당 후보의 지지율이 44%에 달해 지도부가 입은 내상은 더욱 심해졌다. 민주당 핵심관계자도 28일 선거 결과가 나온 뒤 “재보선 연승 기록이 깨지면서 나타난 이번 선거 결과는 지도부로서는 충격적”이라면서 “앞으로 당권을 둘러싼 싸움은 복잡해지고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7ㆍ28재보선으로 잠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주류와 비주류 간에 당권을 놓고 진행될 갈등이 다시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선거패배로 정세균 대표의 당권연장 가도에 빨간불이 켜질 공산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은 현재 정 대표 외에 정동영 의원, 손학규 상임고문 등 이른바 빅3가 당권도전에 나설 것이 확실시됐고 박주선 최고위원과 천정배 의원도 나올 것으로 점쳐진다. 당권싸움이 더욱 복잡해진다는 이야기인데 당장은 선거 뒤로 잠시 미뤄놓은 당헌ㆍ당규 개정을 포함한 당 쇄신 문제 등이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이미 구성된 전당대회준비위원회에서 계파나 주자 간 유불리의 핵심 변수가 되는 전대 ‘룰’을 놓고 세력 간 기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주류 측은 당초 정 대표의 연임을 목표로 현 단일지도체제와 대의원투표제를 유지할 계획이었으나 선거패배로 전당대회 룰 개정 압력이 높아지게 됐다. 실제 준비위 구성인사는 정 대표 측 주류와 정 의원 측 비주류 인사 ‘7대7’로 구성됐기 때문에 전대 방식을 둘러싼 전쟁이 예고되고 있다. 당 지도체제의 경우 주류 측은 대표 1명과 최고위원 5명을 따로 뽑는 현 제도를 선호하고 있다. 반면 비주류 연합체인 쇄신연대와 박 원내대표는 대표와 최고위원 6명을 동시에 선출하는 순수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현 체제가 유지될 경우 대표경선에서 결선투표 실시 여부를 놓고도 설전은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와 함께 전(全) 당원투표제와 당권ㆍ대권 분리 문제도 준비위가 매듭지어야 할 사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