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수입선 다변화해제 품목 對日수입 급증

수입선 다변화해제 품목 對日수입 급증수입선 다변화제도가 폐지되면서 캠코더, 전기밥솥, 휴대폰 등 해제된 품목의 대일본 수입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는 지난해 1월과 7월 모두 48개 품목이 수입선 다변화 품목에서 해제된 뒤 지난 1년간 이들 품목의 수입동향을 분석한 결과, 대일 수입이 98년의 2억2천500만달러에서 지난해 4억6천만달러로 105% 늘어난데 이어 올해 상반기 3억9천500만달러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55% 증가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총수입 증가율(99년 28.4%, 2000년 상반기 44.7%) 뿐 아니라 다른 나라로부터의 수입을 포함한 해제 품목의 전체 수입 증가율(99년 69%, 2000년 상반기 64.4%)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일본제품이 한국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음을보여주고 있다고 무역협회는 설명했다. 수입선 다변화에서 해제된 품목의 전체 수입시장에서 일본제품이 차지하는 비중도 98년의 28.1%에서 지난해에는 34%, 2000년 상반기에는 41.4%로 급증했다. 품목별로는 캠코더의 경우 대일 수입이 98년 81만달러에 불과했으나 99년 2천315만달러, 2000년 상반기 3천195만달러로 폭증, 국내시장의 70-80%를 점유했고 98년2천달러어치가 수입되는데 그쳤던 전기밥솥도 지난해 332만달러, 올 상반기 385만달러어치가 각각 수입돼 국내 시장의 3%를 잠식했다. 또 수입선 다변화 해제로 일본에서의 수입이 가능해지면서 휴대폰과 자동포장기계, 굴착기, 소형엔진 등의 수입국이 일본으로 바뀌는 `역(逆) 수입선 전환' 효과도두드러졌다. 휴대폰의 대일 수입은 98년 3만8천달러(이하 수입시장 비중 0.1%)에서 올 상반기 6천320만달러(96.5%)로 폭발적으로 늘면서 거의 일본 제품으로 대체됐고 자동포장 기계(10→62.6%), 자기 식탁용품(1.6→26.8%), 굴착기(0→80.4%), 사출성형기(18→62.3%), 소형엔진(37.2→81.7%), 밀링머신(40.8→73.7%) 등 시설.자본재의 일제비중도 같은 기간 급증했다. 반면 자동차, TV, VTR, 복사기 등의 수입급증 현상은 아직 없지만 34 또는 38인치 대형TV와 3천㏄급 이상 대형차는 판매망 등이 갖춰질 경우 수입이 늘어날 것으로예상됐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기자입력시간 2000/08/09 15:12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