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증권사 임원 고액연봉 손본다

현대증권 등 적자 내고 직원 구조조정 하면서 크게 올려

금융감독원이 증권사 임원의 연봉 체계에 칼을 빼들었다. 금감원은 현대증권ㆍ키움증권 등 지난해 적자에도 불구하고 임원의 보수를 높인 증권사는 물론 전체 증권사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문제가 있는지 찾아볼 방침이다. 은행 등 다른 금융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영진의 보수에 대해 관대했던 증권업계의 관행에 제동이 걸리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8일 금감원 고위관계자는 "증권사가 적자를 내고 직원 구조조정을 하는 상황에서 임원에게만 높은 연봉을 준 것은 문제가 있어 실태파악에 나서기로 했다"며 "사업보고서 등 공시된 자료부터 분석ㆍ점검해 임원 연봉이 과도하게 오른 곳들에 대해 어떤 사유가 있는지 알아보겠다"고 말했다.


현대증권은 지난 2012 사업연도(2012년 4월~2013년 3월)에 연결기준 68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지만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윤경은 현대증권 사장, 김신 전 현대증권 사장 등 등기임원의 1인당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29% 올린 10억8,000만원을 지급했다.

관련기사



같은 기간 현대증권은 정규직 직원을 2,381명에서 2,372명으로 11명 줄이는 대신 계약직 직원을 153명에서 187명으로 34명 늘렸다. 정년퇴직 등으로 자연 감소한 정규직 인력을 계약직으로 대체한 것으로 사실상 인적 구조조정을 하면서 부진한 실적에 책임이 있는 경영진의 주머니는 불려줬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금감원의 조사로 베일에 가려졌던 현 회장 등 오너의 연봉규모가 드러날지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최근 자본시장법 시행령이 개정돼 내년부터는 연봉 5억원이 넘는 등기임원의 개별 연봉이 공개되지만 현재는 등기임원 1인당 평균 연봉만 공개되기 때문에 오너의 연봉이 얼마인지는 알 수 없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우수한 인력을 영입하기 위해 전략적 차원에서 등기임원들의 연봉을 높이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며 정상적인 경영행위로 볼 수도 있다"면서도 "하지만 현 회장처럼 비상근 등기임원인 오너의 연봉은 경영에 대한 책임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조사결과에 따라 시장의 반응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