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포스코, 1분기 영업익 1.4조...작년 동기比 288% 증가

포스코가 올 1분기에 지난해 1분기보다 288%나 증가한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큰 폭의 원가절감에 성공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끌어올렸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그러나 지난해 4분기에 비해서는 생산설비 보수에 따른 생산ㆍ영업 일수 감소 등으로 매출액, 영업이익이 다소 줄었다. 포스코는 13일 서울 여의도의 한국거래소에서 최종태 사장 주재로 1분기 기업설명회(IR)를 열고 본사기준 ▦조강생산량 823만톤 ▦매출액 6조9,500억원 ▦영업이익 1조4,470억원 ▦순이익 1조4,370억원의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연결기준으로는 ▦조강생산 864만톤 ▦매출액 9조8,810억원 ▦영업이익 1조5,300억원 ▦순이익 1조4,510억원 등이다. 포스코의 1ㆍ4분기 실적을 지난해와 비교해 보면 우선 세계적인 불황으로 감산에 들어갔던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조강생산량이 33.9% 늘었고 제품판매 금액도 7조4,75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5.5% 증가했다 매출액 역시 7.4%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큰 폭으로 늘었다. 각각 지난해 대비 287.9%, 342.2%씩 증가한 수치다. 포스코 측은 “국내ㆍ외 철강 시황 호조와 수출 가격 상승 등으로 이 같은 실적이 나왔다”고 분석했다. 또한 지난해 4월 이후 올 1ㆍ4분기까지는 금융위기로 가격이 대폭 낮아진 철광석ㆍ원료탄 등을 원료로 활용한 것도 영업이익이 커진 이유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4월 낮은 가격으로 연간 단위 원재료 협상을 체결한 이후 하반기부터 철강 경기가 조금씩 회복돼 제품 가격이 높아진 결과가 올해 1ㆍ4분기 영업이익과 순이익 증가로 이어졌다. 이와 함께 포스코는 이번 1ㆍ4분기 3,233억원의 원가를 절감하는 데 성공한 것도 영업이익 증가의 큰 이유라고 밝혔다. 이번 원가절감 금액은 목표 대비 3%를 초과 달성한 것이다. 포스코의 한 관계자는 “저렴한 가격의 원료를 투입해 품질 높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신기술을 15건이나 개발해 당초 목표 이외에 연간 929억원의 원가를 추가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는 이번 1ㆍ4분기 실적에 따른 자신감을 바탕으로 올해 경영 목표를 상향 조정했다. 지난 1월 최고경영자(CEO) 포럼에서는 조강생산 3,440만톤과 매출액 29조5,000원을 목표로 제시했지만 이번 기업설명회에서는 조강생산 3,450만톤과 매출 31조9,000억원의 목표를 새롭게 밝혔다. 그러나 포스코는 이달 이후 최소 80% 이상 오른 가격으로 철광석을 수입해야 할 것으로 보여 제품가 상승으로 인한 판매량 축소, 영업이익률 하락 등의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게 철강업계의 관측이다. 철강업계의 한 관계자는 “원료가 상승과 철강제품 가격 인상은 피할 수 없는 대세이고, 관건은 철강재 수요 산업 경기가 얼마나 살아나느냐에 달렸다”면서 “포스코가 그간 벌여 온 혁신활동의 결과가 올해 실적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