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인 일자리 지원금 줄줄 샌다

상당부분이 청년 일자리 창출에 쓰여 논란<BR>금액도 '노인폄하 발언' 사과차원 늘려 눈총

노인일자리를 마련하는 데 활용돼야 할 정부 지원금의 상당 부분이 청년일자리를 마련하는 데 쓰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이 지원금이 지난 총선 당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노인폄하 발언’에 대한 사과(?) 차원에서 제공된 예산인 것으로 알려져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11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노인일자리 마련사업을 위해 대한노인회에 지원되는 금액은 지난해 22억원(8월 이후 5개월분)에 이어 올해 57억8,000만원으로 책정됐다. 이는 올해 복지부가 노인일자리 사업에 투입하기로 한 국고예산(201억원)과는 별도로 지급될 예정이지만 국고예산과 비교할 때 28.7%에 해당하는 상당한 금액이다. 또 이 지원금은 노인회 261개 지회 가운데 일부 지회에서 노인일자리 업무를 전담하는 인력에 대한 인건비로 모두 쓰일 예정이다. 문제는 이 같은 지원을 받는 노인회의 역할이 불분명한데다 노인일자리 창출을 전담할 인력이 거의 청ㆍ장년층이라는 점에서 비롯된다. 노인회가 시ㆍ군ㆍ구 등으로부터 위탁받아 환경정비ㆍ방범순찰 등 공익형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단순일자리 등 취업을 알선하는 역할을 담당하지만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정부 지원금만 축내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또 노인일자리 전담직원이 대부분 대학을 갓 졸업한 사회복지사나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청ㆍ장년층이라 노인일자리 지원금이 청년일자리에 쓰이고 있다는 비난도 뒤따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