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형주 상승 중소형주 압도

업종 간판주와 중소형 대표주의 수익률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증권거래소가 지난해 4ㆍ4분기 이후 지난 20일까지 주요 업종별 간판 대표주와 중소형 대표주의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우량대표주는 평균 43.74% 오른 반면 중소형 대표주는 24.10% 상승에 그쳤다. 전기전자업종의 대표주자인 삼성전자는 31.50% 상승한 반면 중소형 우량주로 꼽히는 대덕전자는 같은 기간 10.45% 상승에 머물렀다. 석유화학업종의 선발주인 호남석유화학은 60.51% 상승한 반면 중소형주인 한국포리올은 23.73% 올라 상승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자동차업종에서도 1등주인 현대차는 59.46% 오른 반면 쌍용자동차의 상승률은 31.62%에 불과했다. 이 같은 현상은 내수업종에서도 나타났다. 유통업종의 대표주인 신세계는 24.07%를 기록, 현대백화점의 상승률 8.25%보다 3배 가까이 올랐다. 금융업종 대표주자인 신한지주 역시 28.43%의 상승률을 기록해 전북은행의 상승률 15.08%를 웃돌았다. 음식료업종의 농심도 68.90%의 상승률을 보여 삼양사의 상승률 13.89%보다 4배 이상 상승했다. 건설업종의 대표주자인 대림산업은 50.82% 상승했지만, 중소형 대표주인 태영은 오히려 7.93% 하락했다. 중소형대표주가 업종대표주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인 업종은 철강이 유일했다. 포스코는 26.24% 상승에 그쳤지만 동국제강은 무려 97.72%나 올랐다. 전문가들은 ▲1등주와 2등주의 차별화 ▲대형주와 중소형주의 양극화가 지난해 4ㆍ4분기 이후 외국인 주도장세에 따른 결과로 풀이했다. 오현석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외국인이 주도하는 실적장세의 흐름이 이어지고 있어 우량주와 비우량주, 대형우량주와 중소형 우량주 간의 차별화는 당분간 지속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영훈기자 dubbcho@sed.co.kr>

관련기사



조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