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계 반응] 남북경협 단기악재 전망

재계는 이번 북한의 핵개발 시인이 남북경협에 단기적인 악재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북ㆍ미 관계 냉각 국면이 장기화될 경우에 대비, 사태의 진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17일 재계에 따르면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경제단체는 물론 주요 그룹들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 계획 시인에 따라 북ㆍ미간 긴장의 파고가 높아질 가능성은 높지만 남북 경협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동북아 센터 관계자는 "이번 사태로 북ㆍ미간 관계가 냉각, 북ㆍ미 및 북ㆍ일간 수교나 남북 경협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도 "장기적으로는 북한 당국의 개방ㆍ개혁 의지가 워낙 강해 돌파구를 찾을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현대아산 관계자도 "지난 6월말 서해 교전 사태 때도 금강산호가 예정대로 출항하는 등 그 동안 남북 경협과 정치 문제는 별개로 움직여왔다"며 "개성 공단 조성, 동해선 임시도로 등 대북 사업도 예정대로 추진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삼성ㆍLGㆍSK 등은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남북 경협 위축은 물론 미ㆍ이라크 전쟁과 연계될 경우 세계 경제 회복에도 찬물을 끼얹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내년도 경영계획 수립하고 있는 시점에 큰 변수가 터져 나와 더욱 더 신중한 계획 수립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LG 관계자도 "현재 대북 사업은 위탁가공 수준으로 규모가 크지 않은 만큼 별다른 영향은 없지만 긴장이 고조될 경우 신의주 특구나 개성공단 등 새로운 프로젝트 참여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최형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