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장사정포 對南위협 싸고 주장 엇갈려

북한 장사정포의 대남 위협을 두고 엇갈린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국방위 박 진(한나라당) 의원은 4일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국방연구원이 지난 2003년 1월부터 5월까지 휴전선 서부전선을 담당하고 있는 미 2사단 재배치를 전제로 전쟁여건 변화에 대한 모의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군 단독으로 북한군의 침략을 막아야하는 사태가 발생할 경우 보름여만에 수도 서울 방어선이 무너졌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보고서에 따르면 적의 장사정포가 일제히 발사될 경우 시간당 2만5,000여발의 포탄이 쏟아져 한시간만에 서울의 3분의1을 파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방위 임종인(열린우리당) 의원은 장사정포가 사거리와 파괴력에 있어 크게 우려할 만한 것이 못된다고 주장했다. 임 의원은 이날 국방부 국감에서 “국방연구원의 ‘2003~2004 동북아 군사력’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에 위협이 되는 장사정포와 방사포 숫자는 170㎜ 100문, 240㎜ 200문”이라며 “휴전선에서 가장 가까운 서울은 40㎞인데 170㎜ 장사정포의 유효사거리는 24㎞, 사거리 연장탄을 사용하더라도 36㎞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임 의원은 “이론상으로는 장사정포 1회 공격시 수도권에 4,400발의 자탄 도달이 가능하나 서울은 유효사거리 밖이며 수도권 북부 일부지역에 떨어지더라도 정확도가 없어 큰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