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전경련, 기업 규모 클수록 동반성장에 더 적극 참여

주요 대기업 10곳 중 5곳 이상이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설치하거나 임직원 인사평가에 동반성장 추진 실적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가 클수록 동반성장에 더욱 적극적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기업현실에 맞지 않는 정책이 동반성장의 가장 큰 걸림돌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는 최근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금융·공기업 제외) 중 조사에 응한 261개사를 상대로 ‘동반성장 추진 현황 및 인식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설문조사를 보면 응답업체의 60.2%가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운영하고 있었고 49.4%는 최고경영자(CEO)와 임직원의 인사평가에 동반성장 추진 실적을 반영한다고 답했다. 단 기업 규모에 따라 동반성장 참여도는 달랐다. 전담조직을 운영 중인 기업이 1∼100대 기업은 90.0%에 달했지만 101∼200대 기업은 75.8%, 201∼500대 기업은 32.2%였다.

아울러 인사평가에 동반성장 실적을 반영하는 기업도 1∼100대 기업 중에는 83.1%나 됐지만 101∼200대 기업은 51.5%, 201∼500대 기업은 26.3%로 조사됐다. 기업 규모가 클수록 동반성장에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셈이다.

표준계약서 사용도 보편화되고 있다. 응답 기업 10곳 중 8곳(79.3%)은 협력사와 서면계약 때 공정거래위원회의 표준하도급계약서를 사용하고 원자재 가격 변동 등으로 협력사가 납품대금 조정을 요구하면 그 금액의 60.4%를 반영한다고 응답했다.


한편 기업들은 동반성장 추진의 애로점으로 ‘기업 현실에 맞지 않는 정책 추진(62.4%)’을 가장 많이 꼽았다. ‘협력사에 대한 과도한 자금 지원 요구(19.9%)’ ‘한계기업에 대한 지원 요구로 지원 효과 분산(7.7%)’ 등의 순이었다. 양금승 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동반성장 문화의 확산을 위해 기업의 경영자원과 동반성장 추진 수준 등 기업별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동반성장 모델이 개발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동반성장 기업 애로사항 (단위: %)

기업 현실에 맞지 않는 정책 추진 62.4

협력사에 대한 정부의 과도한 자금지원 요구 19.9

한계기업에 대한 지원 7.7

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미흡 6.1

기타 3.9

이종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