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남도 2023년까지 500억 투입 해삼 대량생산체계 구축

경남도가 바다의 산삼으로 불리는 해삼 대량생산 체계 구축에 나선다. 어업인 소득창출과 수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은 물론, 자유무역협정(FTA) 등 세계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다.


경남도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해삼 씨뿌림 사업'을 추진해 해삼 대량생산체계 구축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대상지역은 창원시, 통영시, 거제시, 고성군, 남해군 5개 시·군 해역으로 올해부터 매년 50억원을 투입하고 2023년까지 총 500억원을 투입해 1,000㏊규모에 해삼종묘 1억미(마리) 씨뿌림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관련기사



경남도는 이에 앞서 '해삼 씨뿌림 사업'을 위해 강석중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교수, 채동렬 경남발전연구원 박사, 허준욱 생물모니터링센터 대표, 강승완 수산자원연구소 박사, 김홍주 (사)해삼종묘협회 경남지회장 등 전문가들을 초청해 토론회를 갖는 등 공을 들였다. 토론회에서는 '해삼 씨뿌림 사업' 관련 정보 공유와 더불어 해삼의 △서식특성 △적정 방류량 △이동성 △성장률 등 다양한 분야의 논의에 이어 차후 지속적인 사업과정 모니터링 결과를 가지고 주기적인 토론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강덕출 경남도 해양수산국장은 "경남은 우리나라 해삼 생산량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데다 해삼 서식 적지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며 "앞으로 생산량 1,000억원(약 9,000톤) 창출 목표로 단계별 전략을 수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삼은 웰빙 선호 확대로 인해 차세대 고부가 산업으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정부가 선정한 10대 전략품목으로 한·중 FTA를 계기로 중화권 수출에 있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품목으로 꼽히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