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제중 설립 사실상 확정… 소외계층 특별전형 20%로 확대

청심 국제中이어 내년 3월 대원·영훈中 개교<br>"입시경쟁 본격화·영어 사교육만 더 조장" 논란


숱한 논란을 불러일으킨 국제중학교 설립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일부 전형내용 변경이나 사교육 방지대책에 학부모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 서울시 교육청은 교육과학기술부와 국제중의 세부 교육계획 및 사교육 억제방안 등을 놓고 막바지 조율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구체적인 전형내용이 최종 확정되면 서울 및 수도권의 국제중학교는 지난 2006년 문을 연 경기도 가평의 청심국제중을 포함해 대원중, 영훈중 등 3곳으로 늘어나게 된다. ◇전형내용 뭐가 바뀌나=일단 교과부의 최종 승인과정을 지켜봐야 하겠지만 3단계에 걸쳐 합격자를 가려내는 전체적인 틀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9일 발표한 입학전형 계획에 따르면 1단계에서는 학교장 추천을 받은 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로 5배수를 뽑고 2단계에서 면접과 토론 등으로 3배수를, 마지막 3단계에서는 무작위 공개 추첨으로 통해 최종합격자를 선발하게 된다. 다만 소외계층 배려차원에서 사회적 약자계층에 대한 입학정원이 크게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형내용을 바꾸는 방안은 확정됐다. 시 교육청은 교과부와 협의 과정에서 ‘사회적 배려 대상자 특별전형’ 대상을 애초 7.5%에서 20%로 늘리기로 했다. 이 특별전형에는 차상위 계층 및 환경 미화원, 다문화 가정 자녀 등 사회적 소외계층이 포함될 예정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수업료와 운영지원비, 기숙사비 등 1년간 교육비가 1,000여 만에 이르는데 사회적 소외계층이 이를 감당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도 있어 좀더 지켜봐야 한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해 국제고 입시에서 시 교육청은 사회적 배려 전형으로 15명을 배정했지만 지원자는 4명에 그쳤다. ◇사교육시장 잠재울 수 있을까=토익ㆍ토플 등 영어인증시험과 각종 사설 경시대회 수상 실적 배제, 영어면접 금지 등이 시 교육청이 내 놓은 ‘사교육 방지’대책이다. 하지만 일선 학교에서는 “현실을 모르거나 알고도 모른 채 하는 것”이라는 반응이다. 지금도 각종 올림피아드ㆍ경시대회 등 수상 실적을 생활기록부 비교과 항목이나 종합의견 등에 기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중 입시경쟁이 본격화하면 시험을 치는 학생들이 늘어나는 것은 불 보듯 뻔하다. 영어 몰입 교육도 문제다. 대원중과 영훈중은 국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목을 영어로 진행하는 ‘국제중 교과 운영 특성화 계획’을 세워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원중은 영어ㆍ수학ㆍ사회ㆍ과학 등 주요 4과목의 경우 영어 70%, 우리말 30% 비율로 진행하기로 내부 방침을 세웠고 영훈중은 100% 영어 수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시 교육청은 학교측과 교육과정 운영 등 구체적 사항에 대한 논의를 계속해 영어 몰입 교육을 지양하도록 한다는 방침이지만 입학 뒤 국어와 국사를 제외한 모든 과목을 영어로 수업해야 하는데 과연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다. 김정명신 함께하는교육시민모임 공동대표는 “선행학습 차원의 영어 사교육이 더욱 활개를 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06년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청심국제중 신입생 94명 중 60.6%인 57명이 초등학교 때 조기유학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조기유학 열풍이 더욱 거세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