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교민·근로자들 철수 시작

주이집트 대사관 '카이로-트리폴리' 전세기 협의<br>조만간 철수 본격화 될 듯

반정부 시위가 확산되고 있는 리비아에서 우리 교민 및 근로자들의 철수가 22일 시작됐다. 외교통상부의 한 관계자는 이날 “한국시간으로 오늘 오후4시께 리비아 벵가지 동부 토부룩 소재 우리 중소기업 직원 9명이 자동차편으로 이집트 국경을 향해 출발했다”며 이같이 확인했다. 이 관계자는 “이들은 수시간 내에 이집트 국경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며 “수시로 핸드폰 통화를 하면서 이동구간 안전을 점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현지 대사관은 이들의 안전을 위해 현지로 담당영사를 급파했다고 외교부는 덧붙였다. 아울러 외교부에 따르면 이집트 정부는 리비아 정세를 감안해 국경지역에 24시간 임시수용 캠프를 설치했으며 리비아 국경을 넘어오는 사람들을 수용하고 있다. 특히 주이집트 대사관은 이집트항공 측과 카이로~트리폴리 간 전세기 운항을 협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조만간 우리 국민의 철수가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정부는 현재 1,400여명에 달하는 우리 국민에게 철수를 권고하고 가능한 이동수단 확보를 위해 총력전을 펼쳤다. 리비아 현지 진출 건설업체들도 직원들의 신변 안전을 위해 모든 수단을 찾아 백방으로 뛰고 있다. 하지만 전화는 물론 인터넷 등 현장과 연결할 수 있는 연락망이 두절돼 대책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여기에 공사 중인 시설물과 장비의 보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철수 루트 확보 등도 시급히 마련해야 할 난제다. 이에 따라 현대ㆍ대우건설 등은 항공과 육로 등을 통해 현지에 대책반을 급파했다. 그러나 사태가 갈수록 악화하면서 현지 대책반조차 직원 신변안전조치 등 비상대책 마련에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락두절로 신변안전 확인 어려워, 대책반 급파=리비아에 5개 현장을 운영 중인 현대건설은 지난 21일 해외영업본부 임원 등 4명을 트리폴리로 급파해 대책반을 꾸렸다. 트리폴리 지사 및 인근 현장과는 이따금 연락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최근 피습을 당해 대피한 현장(벵가지-토브룩 송전선)과는 연락이 두절돼 직원들의 신변 안전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위가 트리폴리까지 확산되고 내전상황으로 치달으면서 대책마련에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회사 측은 “현지 직원들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한 가족들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며 ”가능한 한 모든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우건설도 직원 안전 확보를 위해 해외영업본부장을 튀지니를 통해 육로로 리비아에 급파했다. 7개의 대우건설 현장에는 본사ㆍ협력사 등 한국인 직원 297명과 제3국인 2,976명, 현지인 777명이 근무 중이다. ㈜신한의 경우 현장 피습 이후 여러 현장의 한국직원 160명과 외국인근로자 3,000여명을 트리폴리 북부 마무라 현장에 집결시켰지만 22일 새벽5시 이후부터는 연락이 두절된 상태다. ◇철수 루트 확보 난망=직원 철수를 위한 방안도 난제다. 현재 리비아에 나가 있는 건설업체들의 한국인 직원은 1,300여명. 하지만 현장이 리비아 곳곳에 흩어져 있는데다 대규모 플랜트 현장들은 외딴 지역에 자리잡고 있어 이동조차 쉽지 않다. 육로의 경우 이동거리가 너무 길어 시위대 등에 노출될 경우 안전을 확보하기 어려운데다 현지를 탈출하려는 외국인들이 공항에 몰려들면서 비행기표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현재 벵가지공항은 폐쇄됐고 트리폴리공항은 아직까지 운영되고 있지만 언제 폐쇄될지 모르는 급박한 상황이다. 여기에 현지의 한국인 직원들은 물론 현장에서 근무 중인 2만2,000여명의 제3국 근로자의 안전문제를 책임져야 하는 것도 문제다. A사 관계자는 “일단 본사 직원을 중동지역으로 보내 리비아 입국을 시도하고 있지만 사실상 모든 교통망이 두절된 상태”라며 “하루빨리 정부 차원의 철수 계획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장 보존 방법도 비상=직원 철수에 따른 공사현장 보존 문제도 건설업체들의 고민거리다. 자칫 발전소 등 플랜트 시설이 파손될 경우 복구가 쉽지 않은데다 대당 수억원짜리 고가 장비가 많다 보니 현장을 무조건 비워두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같은 이유 때문에 지난 1980년대 이란ㆍ이라크 전쟁 당시 국내의 한 대형 건설사 직원들이 현장시설 보호를 위해 끝까지 귀국하지 않고 남았던 것은 건설업계에 아직도 유명한 일화로 회자되고 있다. A사 관계자는 “가장 중요한 것은 직원들의 신변안전인 만큼 정부의 방침이 정해지는 대로 안전 확보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다만 사업 자체의 철수는 아닌 만큼 현장 보호를 위한 조치를 강구 중”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