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우리금융 민영화, 국민주 방식 안돼"

정부 "주인없는 금융사 위험"<br>洪대표 제안 수용 않기로

정부는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제안한 '포스코식(국민주 공모방식) 우리금융그룹 민영화'방식을 수용하지 않기로 했다. 이는 대형 은행ㆍ증권사 등을 갖춘 금융그룹을 주인 없는 회사로 만드는 것이 정부(예금보험공사)가 지분을 가지고 있는 것보다 더욱 위험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17일 정부 고위관계자는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정부는 우리금융을 포스코 방식으로 민영화하겠다는 생각을 해본 적도 없고 바람직하지도 않다"며 "우리금융은 어떤 방식이 됐든 입찰을 통해 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민영화라는 것은 기업을 책임지고 경영할 수 있는 주인을 찾아주자는 취지인데 국민주 방식으로 우리금융의 지분을 분산시키면 누가 경영진을 뽑고 누구에게 경영의 책임을 물을 것이냐"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주 방식으로 하면 정부가 매각지분에 대해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을 수 없어 (과거 우리금융을 살리기 위해 투입한) 공적자금 회수를 극대화하는 데도 어렵다"며 "포스코 방식은 여러모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그는 다음달 17일 예비입찰 마감과 함께 본격화하는 우리금융 매각입찰에 사모펀드(PEF)만 참여한 것과 관련해 말을 아끼면서도 "론스타 문제로 너무 (정부가) 데였다"고 여운을 남겼다. 정부는 지난 2003년 외환은행을 미국계 PEF인 론스타에 넘긴 후 현재까지 대주주 적격성 문제, 헐값매각 등의 논란에 휘말려 있다. 만약 이번 입찰이 유찰될 경우 수의계약 방식으로 팔지를 묻는 질문에 그는 "(특혜시비 등의) 부담을 정부가 감당할 수 있겠느냐"며 "아직 거기까지 진도가 나가지는 않았지만 만약 유찰된다고 해도 다시 경쟁여건하에서 팔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을 개정해 산은금융지주가 우리금융 매각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길을 터주려다 무산된 것과 관련, "산은에 우리금융을 주려고 했던 것은 아니었다"며 "산은금융도 민영화 대상인데 우리금융을 넘기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이야기가 정부 내부에서 많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