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3개 국책銀, 노사 임금 5% 삭감 합의

연차휴가 25%도의무적 사용… 타금융공기업으로 확산될듯<br>"정규직 줄일 판인데… 잡셰어링 취지 무색" 불만

산업ㆍ기업ㆍ수출입은행 등 3개 국책은행이 임금을 5% 삭감하는 데 합의했다. 금융감독원에 이어 국책은행 노사가 임금삭감에 합의하면서 임금감축 바람이 금융공기업 전체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잡 셰어링이라는 당초 취지를 잃은 채 단순히 직원들의 임금만 줄이려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3개 국책은행들은 노사 합의로 10월부터 직원의 임금을 5% 삭감하고 연차휴가의 25%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들 3개 은행은 올 초 임원의 기본연봉을 평균 40% 이상 삭감한 데 이어 성과급을 10% 반납하기로 했으며 지점장ㆍ부서장급도 지난 4월 임금 5% 자진 반납 등을 시행하기로 했다. 금융공기업의 대표격인 국책은행들이 임금삭감에 나서면서 신용보증기금 등 기타 금융공기업도 임금삭감에 속속 합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공기업에 대한 예산과 성과급 지급 여부를 손에 쥐고 있는 정부가 임금삭감을 강력히 주문하고 있어서다. 업계에서는 모든 금융공기업이 정부가 임금삭감의 '데드라인'으로 정한 9월 말은 넘겼지만 조만간 상당수 금융공기업이 임금삭감 대열에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경기가 회복되고 '땜질식' 청년인턴제의 문제점 등으로 '잡 셰어링'의 명분이 퇴색한 상황에서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임금삭감에 어떤 공익이 있느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임금삭감으로 생긴 재원으로 일자리를 창출한다고 하지만 금융공기업은 정부의 공공기관선진화방안 때문에 오히려 정규직 직원을 10% 이상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국책은행의 한 관계자는 "임금삭감분을 어떻게 하라는 (정부의) 지침이 없다"며 "일정 부분 그냥 임금을 줄이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직원들도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한 금융공기업 직원은 "금융위기를 맞아 시중은행이 몸을 사릴 때'공(公)금융'이 앞장서 열심히 뛰었지만 결과는 임금삭감뿐"이라며 "단순히 월급이 많다며 막무가내식으로 임금을 줄이는 것이 무슨 도움이 되느냐"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