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정부, LG유플러스 中화웨이 장비 도입에 우려 표명

미국 정부가 최근 LG유플러스가 중국의 화웨이 기지국 장비를 도입하기로 한 것에 대해 안보상의 이유로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미국 상원의원까지 화웨이 장비를 도입할 경우 한·미 동맹이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 논란이 확산되는 양상이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최근 한국의 관리들에게 비공식적인 통로를 이용해 중국의 화웨이가 한국의 무선 네트워크 시장에 진출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전달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화웨이의 장비가 미군 주요 인사들의 네트워크를 도청하고, 미국과 동맹국의 통신 내용을 감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한 미국 정부 관리는 전했다.

미국 정부 역시 지난 2011년 화웨이가 통신장비를 이용해 감청을 할 수 있다는 이유로 자국의 무선 네트워크 사업에서 배제했다.

또 오바마 행정부는 지난해 비공식적인 통로로 화웨이가 호주의 광대역 사업에 참여하는 것에 우려를 표명했고, 화웨이는 경쟁 입찰에 참여하지 못했다,

미국 정부는 특히 한국의 경우에는 주한 미군이 주둔하고 있고, 미국과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과 인접해 있다는 점에서 화웨이의 진출을 더욱 민감하게 보고 있다.


이 같은 우려의 목소리는 미국 의회에서도 나왔다.

관련기사



다이앤 파인스타인(민주·캘리포니아) 상원 정보위원장과 로버트 메넨데즈(민주·뉴저지) 상원 외교위원장은 지난달 27일 척 헤이글 국방장관, 존 케리 국무장관,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DNI) 국장에게 LG유플러스의 화웨이 장비 도입이 한·미 동맹을 위협할 수 있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이들은 서한에서 “화웨이가 한국의 LTE-A 통신 기간망 공급자로 선정됐다는 보도를 봤는데 이는 잠재적인 안보 우려를 야기한다”며 “통신 기간망 보안은 안보 동맹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밝혔다.

서한은 바이든 부통령의 방한과 방중에 앞서 발송됐다. 그러나 바이든 부통령과 한국·중국 당국자들과의 회담에서 이 같은 내용이 논의될지는 확실하지 않다.

이에 대해 청와대와 군 당국, 정보기관은 “할 말이 없다”고 밝혔고, 한국 정부는 “미국 정부가 우려를 표명했다는 사실을 듣지 못했다”면서 “이는 개별 기업이 결정할 문제”라고 답했다고 WSJ는 보도했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 10월21일 2.6㎓ 주파수 대역에 광대역 LTE 망을 구축하기 위해 화웨이의 기지국 장비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화웨이는 세계 2위 통신장비업체로, 화웨이가 우리나라의 기지국 장비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LG유플러스는 “통신망은 외부 인터넷망과 완전히 분리되는 데다 운영도 자사가 직접 한다”며 “일부에서 제기되는 보안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고 반박한 바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