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자금조달 어떡해"…속타는 저축銀

삼화 영업정지 여파에 후순위채 발행 규제 강화<br>조달 통로 좁아져 필요자금 확보 절반수준 그쳐


저축은행들이 자금조달에 애를 먹고 있다. 그동안 저축은행은 후순위채 발행을 통해 필요 자금을 조달했으나 삼화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와 금융감독당국의 후순위채 발행 규제 강화가 맞물리면서 필요자금의 절반 수준만 겨우 확보할 정도로 곤란을 겪기 시작했다. 7일 금융계에 따르면 설연휴 직전 영남저축은행이 1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연리 8.0%, 5년3개월 만기)를 발행했지만 마감 결과 50억원 조달에 그쳤다.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영남저축은행은 그나마 후순위채 발행에서 선전한 것"이라며 "삼화저축은행 영업정지 여파로 저축은행 후순위채에 대한 인식이 매우 좋지 않아 발행하고 싶어도 시장상황이 받쳐주지를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A저축은행 등 일부에서는 일본자금 유치에도 나섰지만 현지 반응이 신통찮아 아직 이렇다 할 성과가 없다. B저축은행 역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00억~3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검토하고 있지만 시장 상황이 호전되기만 기다리는 입장이다.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저축은행 후순위채 규모는 총 2,014억원(12개사). 전체 저축은행 자기자본의 3% 미만(2.8%)에 불과한 규모지만 시장 심리가 싸늘하게 식어 상당수 후순위채는 차환발행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말 후순위채 발행 기준을 국제결제은행(BIS)비율 5% 이상에서 8%, 기본자본(Tier1) 비율 5% 이상으로 강화한 것도 저축은행들로서는 자금조달 통로가 좁아지는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좋지 않은 시장상황에서 차환발행이 어려워지면 상환자금 마련 등으로 유동성위험이 증가하게 돼 문제 은행으로 찍힐 수 있다"며 "예금이탈 사태에 직면하거나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될 수 있어 말썽 없이 자금을 마련하느라 전전긍긍하는 상황"이라고 귀띔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