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침몰한 선체 뒷부분 어선이 첫 탐지

실종자 수색 민간구조대 사고 해역으로 출동

SetSectionName(); 침몰한 선체 뒷부분 어선이 첫 탐지 실종자 수색 민간구조대 사고 해역으로 출동 천안함 침몰 사흘째가 되도록 사고과정과 원인에 대한 의혹은 풀리지 않고 있다. 평소 항해하던 천안함의 웅대한 모습./사진제공=해군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실종된 천안함 장병들이 갇혀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선체 뒷부분을 맨 처음 탐지한 것은 해군의 탐색ㆍ구조작업을 돕던 어선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군 당국에 따르면 28일 오후 4시20분께 침몰 해상에서 탐색ㆍ구조작업을 지원하던 어선 3척 가운데 1척이 어군탐지기에 이상 물체가 탐지됐다고 해군에 연락해 현장에 도착한 기뢰제거함(소해함)인 옹진함이 음파탐지기로 이를 식별했다. 군 관계자는 “어군탐지기는 물체가 있다는 형상이 점으로만 나타나며 기뢰제거함이 음파탐지기로 30여m 크기의 천안함 뒷부분을 식별해냈다"며 "구조작업을 돕던 어선들의 도움으로 선체 뒷부분의 위치를 빨리 찾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천안함의 선체 뒷부분은 폭발지점으로부터 50여m 이상 떨어진 수심 45m 지점에 가라앉아 있었다. 한편 민간 구조대원인 한국구조연합회 회원 22명은 이날 오전 군ㆍ해경의 실종자 수색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어업지도선을 타고 백령도 용기포항을 출발했다. 정동남 구조연합회 회장은 "원래 부표가 있는 곳으로 바로 갈 계획이었지만 작전 브리핑을 하겠다는 해난구조대장의 통보를 받고 광양함으로 향하고 있다. 날씨가 좋아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뉴스속보팀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