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근로자 1만6500명 신평·장림산단… 지자체 무관심에 '교통 오지' 전락

마을버스 2개 노선만 산단 경유

입주업체 노선 연장·확충 요구에도

부산시 "총량제 때문에 안돼" 팔짱만

한 지자체가 법 규정에만 파묻혀 팔짱만 끼고 있는 사이 지역의 대표적인 영세 산업단지가 대중교통으로 근접하기 어려운 '교통 오지'로 전락해 입주 업체들의 불편이 고조되고 있다.

23일 부산시와 사하구청 등에 따르면 1990년에 조성된 신평·장림산업단지는 자동차부품·기계·도금·패션칼라·피혁 등 654개 업체가 입주해 있고, 총 근로자는 1만6,500여명에 달한다. 하지만 산단을 경유하는 대중교통 수단은 20~3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사하구 5'번과 '3-1'번 등 마을버스 2개 노선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1만6,000여명의 산단 근로자들은 매일 출퇴근 고충을 겪어야 하는 상황이다. 일부 업체들은 출퇴근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청년들이 입사를 꺼려 생산직 근로자를 구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일부 업체들은 추가 비용을 들여 통근버스나 승합차를 자체적으로 운영중이다. 그러나 차량 1대당 매월 150만원 가량이 들 정도로 비용이 만만치 않다. 통근버스 2~3대 만 운영해도 월 500만원을 훌쩍 넘어 영세 업체로는 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산단업체 한 관계자는 "매월 400만원 가량을 들여 45인승과 15인승 등 2대를 운영하고 있다"며 "최근 경기침체로 경영난이 더욱 악화되고 있지만 근로자들의 복지를 위해 중단시킬 수도 없어 한숨만 나온다"고 토로했다. 이마저도 회사 형편이 나은 대형 업체 정도만 자체 통근버스를 운영할 수 있고, 나머지 대부분의 영세 업체들은 꿈도 꾸지 못할 상황이다.

불편한 대중교통 때문에 기존 근로자들은 출퇴근에 애를 먹고 있고, 젊은 구직자들은 외면하면서 산단 경쟁력은 계속 떨어지고 있는 악순환에 몰려 있는 것이다.

참다 못한 입주 업체들은 부산시에 산단을 경유하는 일반버스 노선 연장과 마을버스 증차 등을 요구해 왔다. 그러나 시는 법 규정만 되풀이 하며 해결책 찾는데 소극적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산단 업체 관계자는 "일반버스 노선 연장과 마을버스 확충 등을 수차례 요청했지만, 시는 법 규정과 기존 마을버스 업체 반발 등을 우려해 소극적으로만 대응하고 있다"고 발끈했다.

시 관계자는 "신평·장림산단의 마을버스를 증차하려면 다른 곳의 마을버스를 줄여야 하는 상황"이라며 "마을버스 총량규제로 새로 증차하거나 배차 간격을 줄이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 일반버스 노선 연장도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내버스가 산단으로 들어가면 마을버스 노선이 필요 없어지게 되고 결국 마을버스 업체의 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에 마을버스 운영업체가 반대할 게 뻔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부산시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이해 당사자들의 눈치만 살피는 사이 1만6,000여명의 산단 근로자들은 하루 하루 악몽같은 출퇴근 전쟁을 치뤄야 하는 날이 반복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