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한·아세안 정상회의 폐막] 박근혜 대통령 "GCF 재원 활용 기후변화·재난 대응 지원할 것"

비즈니스모델 개발·ICT 활용·산림협력 강화

신재생에너지-ESS 결합·전기차 확대 등 검토

새마을운동 개발 경험·전자정부 기술도 공유

손잡은 한·아세안 정상들

박근혜 대통령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들이 12일 오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1세션에 앞서 손을 잡고 있다. 하사날 볼키아(오른쪽부터) 브루나이 국왕, 응우옌떤중 베트남 총리,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 베니그노 아키노 필리핀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 테인 세인 미얀마 대통령, 나집 라작 말레이시아 총리, 통싱 탐마봉 라오스 총리,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훈센 캄보디아 총리. /부산=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은 12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10개국 정상들에게 기후변화·재난 대응을 위한 3대 방안을 제안했다. 실행력에 의문이 가는 거창한 구호가 아니라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고 아세안 정상들은 공동성명에 박 대통령의 제안을 수용할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GCF 자금 활용한 기후변화·재난 대응=박 대통령은 녹색기후기금(GCF),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사무국을 유치한 소재지국으로 이들과 협력해 아세안 국가들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 정부는 올해 열린 유엔기후정상회의(9월)와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11월)에서 박 대통령이 직접 각국의 공여를 유도하는 적극적인 노력을 벌인 결과 약 102억달러의 재원을 조성해놓은 상태다.


박 대통령은 이날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우리 정상들은 기후변화와 재난관리 문제는 심각한 도전이지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이를 위해 창의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면서 "저는 GGGI·GCF와의 협력을 통해 친환경에너지 보급사업과 농업생산성 향상, 재난방지사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아세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우리가 강점을 가지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와 전력저장장치(ESS)를 결합하는 방안 △태양광 등을 이용해 친환경에너지타운을 건설하는 모델 △아세안 국가 중 관광특구를 중심으로 전기차를 확산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재난유형별로 맞춤형 상황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빅보드를 구축하는 등 우리 기술력을 바탕으로 아세안의 재난 대응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스마트 팜 비즈니스 모델을 아세안 국가들에 보급해 유리온실온도 실시간 제공, 창문개폐 원격제어, 작물상태 원격모니터링 등을 통해 농업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한국과 아세안 간 산림·수자원 협력도 강화된다. 한국은 종합적 수자원 관리 경험과 신규 댐 건설, 노후 댐 관리, 금융지원 노하우 등을 통해 아세안의 물 문제 해결을 지원하게 된다.

아세안 개발도상국이 추진하고 있는 기후변화·재난 대응노력에 우리 정부가 물적·재정적 지원을 확대하는 것은 결국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실현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의 개발 경험을 아세안과 공유=박 대통령은 아세안 정상들에게 압축경제성장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고 있는 한국 경제발전 경험을 공유하고 관련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박 대통령은 "내년 아세안공동체 출범이 역내 개발격차 해소의 토대가 되고 침체된 세계 경제의 회복에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한국은 우리의 개발 경험을 적극적으로 공유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새마을 석사과정 초청연수와 지구촌 새마을운동사업을 통해 아세안 농촌의 빈곤 퇴치에 기여하기로 했으며 아세안의 과학·기술 분야 미래인재 양성을 지원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새마을운동은 가장 성공한 농촌 개발전략 중 하나로 최근 새로운 정책도구로 개발되고 있는 만큼 아세안 개발 추진에도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의 전자정부 시스템 구축과 공공행정 서비스 개선 경험도 적극 공유하기로 했으며 아세안공동체 출범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아세안사무국 역량 강화를 위해 IT 인프라 업그레이드를 지원하기로 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