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親손학규 인사·안국포럼 출신 각각 만찬모임

"계보정치 부활?" 미묘한 파장<br>"당내 역할 모색위한 본격 행보 신호탄" 관측에<br>참석자들 "잘하자는 취지 모임" 확대해석 경계

손학규 통합민주당 대표에게 우호적인 이른바 ‘친손(親孫)’ 인사들과 이명박 대통령 만들기의 산실역할을 했던 ‘안국포럼’ 출신 한나라당 4ㆍ9 총선 당선자들이 최근 각각 만찬모임을 가졌다. 이에 대해 계보정치가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돼 여야 정치권에선 미묘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친손학규 인사들이 늦어도 7월 열릴 예정인 민주당 전당대회의 당권경쟁을 앞둔 시점에 한자리에서 대규모 만찬을 했고 안국포럼 출신 당선자들도 이 대통령이 “친이도, 친박도 없다”며 계보정치 청산의지를 밝힌 직후 모임을 가졌기 때문이다. 친손측 인사 20여명은 지난 13일 저녁 서울시내 한 식당에서 4ㆍ9 총선 이후 처음으로 친목을 겸한 모임을 가졌다. 이를 놓고 당내에서 “단순한 친목모임”, “세력화를 위한 신호탄”이라는 갑론을박이 이뤄지고 있다. 이번 만찬에는 손 대표를 비롯해 정장선ㆍ조정식ㆍ전병헌ㆍ신학용ㆍ김동철 의원 등 총선 당선자와 임종석ㆍ우상호ㆍ정봉주ㆍ한광원ㆍ이기우 의원 등 낙선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회동에 대해 손 대표가 비록 “차기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출마하지 않겠다”, “소계파나 분파는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긴 했지만 친손 인사들이 일종의 결사체로서 앞으로 당내에서 일정한 역할을 모색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의 신호탄이 아니겠느냐는 관측이 나돈다. 안국포럼 상근자 출신인 백성운ㆍ조해진ㆍ권택기ㆍ강승규 한나라당 당선자 등 4명도 지난 14일 서울 시내 모처에서 2시간 가량 만찬을 겸해 회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국포럼은 이 대통령이 서울시장 퇴임 직후인 지난 2006년 6월말 열었던 개인사무실로 지난해 대선 경선 승리를 이끌어내는 데 핵심 역할을 했다. 안국포럼에 한 때 적을 뒀던 인사들까지 합하면 안국포럼 출신 당선자는 10명 가량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낙선한 ‘안국포럼 졸업생’들까지 규합하면 당에서 충분히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세력 규모다. 이에 따라 이들이 18대 국회에서 한나라당 내에 하나의 소모임을 결성해 모종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참석자들은 이날 모임에 대해 “그냥 밥 먹고 앞으로 잘하자”는 취지의 모임이었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