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0·28 재보선] 정세균 입김 세지고 손학규 재입성 발판

● 여야 거물들 거취는<br>정몽준, 양산 승리로 체면치레… 박근혜는 소신 피력 여지남겨

(위 왼쪽부터) 정몽준 대표, 박근혜 前대표, (아래 왼쪽부터) 정세균 대표, 손학규 前대표

10ㆍ28재보선 결과 한나라당이 경남 양산과 강원 강릉에서, 민주당이 경기 안산 상록을과 수원 장안 및 충북 4개군 선거에서 승리함에 따라 잠룡들의 거취가 대략 정리되는 분위기다. 여야 모두 특별한 이변 없이 2대3으로 재보선이 막을 내림에 따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저마다 커다란 변화 없이 자신의 정치적 위상을 확인시키며 내년 지자체 선거에서 승부수를 띄울 것으로 보인다. ◇ 박근혜ㆍ정몽준, 한숨 돌리고 당 분란은 잠재워 비록 여 3, 야 2의 황금비율을 성사시키지 못했지만 박 전 대표와 정 대표는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정 대표의 경우 3곳 이상에서 승리를 거뒀을 때 정치적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었겠지만 그나마 양산과 강릉을 가져옴에 따라 조기전대 등 정치적 책임론에서는 한발 물러날 수 있게 됐다. 리더십 논란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박희태 전 대표를 원내에 입성시킴으로써 여당 대표의 체면은 유지하게 된 셈이다. 여기에 정 대표가 선거운동 기간 쉴틈없이 지역구를 돌아다니며 지원유세를 한 것도 당 내외에 대표로서의 위상을 세울 수 있는 기회가 됐다는 평이다. 수원 장안의 승리가 아쉽기는 하지만 이에 대한 당내 책임론은 거세게 일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남은 정기국회와 내년도 지방선거를 생각해서라도 당내에서 책임론을 제기하기에는 정치적 부담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박 전 대표도 일단 선거 후폭풍에서 한발 비켜나게 됐다. 지원유세를 하지 않은 데 따른 책임론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다 세종시 등 핵심 쟁점에 대해 박 전 대표의 소신을 피력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는 지적이 많다. ◇ 정세균ㆍ손학규, 선전 자평 속…입지강화 여지 남겨 정 대표 역시 현 지도체제를 유지하면서 2기 정세균 체제를 이끌 동력을 마련했다. 4대1이라는 최선의 결과는 아니지만 수원 승리의 명분은 당분간 정 대표가 당 장악력을 높일 수 있는 계기로 충분하다. 또 안산 상록을 승리는 후보 단일화 실패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이 수도권에서의 입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따라서 정 대표는 남은 정기국회 일정에서 이명박 정부 중간심판론과 함께 거대 여권 견제론에 기댈 수 있는 명분을 마련해 정국 주도권을 가져올 기회를 가지게 됐다. 손 전 대표는 수원 장안의 승리로 정치적 입지를 재확인함과 동시에 성공적인 현실 정치권 재입성의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됐다. 여기에다 차기 대권주자로서의 정치적 입지를 다시 한번 확인함과 동시에 야권 내에 친 손학규 진영 구축이 용이하게 됐다는 점이 주목된다. 후배인 이찬열 후보의 여의도 입성을 무시하기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무엇보다 여당의 박찬숙 후보를 물리쳤다는 점에서 경기도에서는 '역시 손학규'라는 평가를 받게 됐다는 점이 손 전 대표의 다음 정치행보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손 전 대표가 선거지원에 나서면서 "재보선 이후 당분간 선거전과 같은 생활을 더 할 것"이라고 말한 점으로 미뤄 곧바로 정치에 복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정치적 위상은 분명히 한 만큼 야권 내 잠재적 대권후보 경쟁자인 정 대표를 위협하기에는 충분한 명분을 만들었다. ◇ 친노, 득표력 위안 당분간 숨고르기…군소정당 한계 절감 친노진영의 움직임은 다소 주춤할 것으로 보인다. 비록 양산 선거에서 치열한 접전 끝에 패배했지만 친노신당 등 친노진영의 정치적 재기는 한숨을 돌리는 양상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양산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실상의 고향인데다 문재인 전 비서실장과 이해찬 전 총리, 유시민 전 장관 등 친노진영이 총출동했음에도 유권자들의 선택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친노진영은 당분간 시간을 두고 신당 창당 움직임을 보이며 숨고르기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자유선진당과 민주노동당ㆍ진보신당 등 군소야당은 정치적 한계를 절감하는 선거로 남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