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0월 6일] 노조 전임자 축소 요구하고 나선 기아차

기아자동차 노조원들이 노조전임자 수를 더 줄이고 상급단체인 금속노조에 내는 조합비도 삭감할 것을 노조 집행부에 요구하고 나서 관심을 끈다. 노조 조합원들이 전임자 수 축소를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합원들의 이런 움직임은 타임오프제 도입에 따라 노조 전임자가 많을수록 조합원의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는 노조 집행부의 방만한 운영에 대한 과감한 개혁을 요구하는 것이어서 다른 노조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기아차 노사가 무급 전임자 수를 200여명에서 70명으로 줄이기로 합의한 가운데 노조 집행부는 전임자 급여를 위해 조합비를 통상 임금의 1.2%에서 2.0%로 올리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경우 노조원의 1인당 조합비가 월평균 1만4,000원가량 인상되기 때문에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노조원들의 요구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금속노조에 내는 연간 35억원의 납부금 역시 대폭 줄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타임오프제 도입과 함께 전임자가 많을수록 조합원들의 부담도 커진다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다. 지금까지 회사 측에서 전액 부담해온 노조 전임자 급여가 조합원들의 부담으로 돌아가게 됐기 때문이다. 자신들의 주머니에서 직접 줘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 노조원들이 집행부 조직의 방대한 운영과 활동에 개혁을 요구하는 것은 당연하다. 노조 집행부로서는 노조원들의 당연한 주장을 최대한 수용해야 한다. 기아차 노조 전임자는 타임오프제 적용 대상자 21명을 포함해 모두 91명으로 기존의 204명에 비하면 절반 이상 줄었다. 노조 집행부로서는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다. 그렇더라도 기아차 노조 집행부는 조합원을 위한 노조로 거듭나야 한다. 조합원의 신뢰를 받는 노조가 되기 위해서는 전임자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노조원들의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노조 간부들도 임기가 끝나면 생산현장으로 돌아가야 한다. 한번 노조 간부가 되면 영원히 생산현장을 떠나는 비정상적인 관행을 바로잡아야 한다. 금속노조 등 상급단체 역시 산하 사업장에 과도한 비용부담을 떠넘기지 말아야 한다. 이번에 노조 전임자 축소를 요구하고 나선 기아차 노조원들의 반발은 노동운동의 변화를 알리는 신호탄이라 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