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전세가율 70% 속출... '전세→매매’ 전환수요 나타나나

전셋값이 매매가의 70%를 넘는 곳이 속출하자 전세를 매매로 바꾸는 전환수요가 일어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19일 국토교통부가 전세가율과 주택거래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세가율이 높은 곳에서 아파트의 매매 거래량 증가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9월 말 기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전세가율) 70%가 넘는 성동·서대문·동작 등 10개 구의 매매 건수는 2만5,000여가구에 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1만6,000가구)에 비해 매매가 52.8%나 증가했다.


반면 전세가율이 65% 이하인 은평·종로 등 8개 구의 매매 증가율은 38.3%에 그쳤다.

관련기사



경기의 경우에도 전세가율이 70% 이상인 화성·오산·의왕·군포·수원·구리·하남·안양·부천 등 9개 시의 매매 증가율은 54.7%에 달해 전세가율이 65% 이하인 파주·김포·용인·여주·남양주·포천·양주·광주·과천 등 9개 시의 28.3%를 2배 가까이 웃돌았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는 전세가율이 70%를 돌파하면서 전세가 매매로 전환되는 임계점에 다다른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한편 수도권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9월 기준 67.1%로 작년 1월과 비교하면 7.4%포인트 올랐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경우 65.4%, 인천은 66.0%, 경기는 68.4% 등이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