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리치] '中 투자조절' 중장기론 긍정적
과잉투자 억제, 국제 철강값 급락 방지 효과 단기적으론 '차이나 쇼크' 영향 불가피 할듯
하반기 철강값 회복 예상 '매수' 유지
지난 4월 초만해도 철강주의 승승장구를 의심하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았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철강주가 IT주의 바통을 이어받아 증시의 주도주로 부상할 것이고 한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철강주는 4월 말에 불거진 중국발 악재의 ‘카운터 펀치’를 맞고 맥없이 무너졌다.
철강주의 간판 스타였던 POSCO는 한달여 동안 20% 이상 주가가 밀렸다. 원자바오 중국 총리의 입에서 시작된 중국 경제긴축 움직임이라는 태풍이 황해를 넘어 국내 철강주에 직격탄을 날린 것.
지난달 초 중국 효과를 들먹이며 철강주의 고속 상승을 예견했던 전문가들의 진단만을 믿고 철강주를 선뜻 사들였던 투자자들은 당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외국인 투자자의 무차별 매도 공세로 인해 단기간 주가 하락 폭이 너무 커 손절매 타이밍 마저 놓친 투자자들도 많다.
반면 급락에 따른 가격 이점이 부각돼 이쯤에서는 관심을 높여볼 만하다는 의견도 있다. 과연 철강주의 추락은 일시적인 조정으로 그치고 반등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 중국발 악재 후폭풍에 단기적 충격 불가피 =철강 산업을 비롯한 장치산업 경기가 ‘차이나 효과’(중국 고속성장에 따른 국내 산업 수혜)에 근거했다는 점에서 역 파장이 크다.
경제 성장 억제책이 중국 내부적으로는 철강 소비량 둔화로 이어지고 외부에는 국제 철강경기 둔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발 쇼크로 국제 철강가격이 15% 이상 하락하고 국내 철강사들의 3ㆍ4분기 수출 및 내수 가격이 12% 정도 인하되면 국내 철강업체는 3ㆍ4분기부터 영업이익률이 2% 포인트 가량 떨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국제 철강 가격이 2ㆍ4분기 조정을 끝내고 3ㆍ4분기에 재상승 할 것으로 내다봤던 양기인 대우증권 연구원은 철강 가격 강세 전환 시점을 내년 초로 미뤘다.
“2ㆍ4분기에는 중국 쇼크의 직접적인 파장에서 벗어나기 힘들고 3ㆍ4분기에는 대내외적인 판매 가격 인하 압력이 거세질 것이라는 점이 고려됐다”게 양 연구원의 설명이다.
철강가격이 1ㆍ4분기에 급등해 4월에 판재류 가격을 대폭 인상한 국내 철강사들에게는 3ㆍ4분기 수출 및 내수 가격 인하 압력이 확대될 전망이다.
연초 상승세가 가팔라 위태로운 고공 행진이라는 표현까지 나왔던 철강가격이 올 2~3ㆍ4분기에는 조정을 피할 수 밖에 없다 점은 당분간 철강주의 악몽으로 남아있을 수 밖에 없다.
◇ 중국 긴축 정책, 독(毒)이냐 약(藥)이냐 =최근 철강주 주가 급락을 놓고 전문가들은 시장에서 지나치게 호들갑을 떨고 있다는 반응을 내보이고 있다.
중국의 긴축 정책이 중국 철강 산업의 과잉 투자를 억제해 국제 철강 시황의 급격한 하락을 사전에 예방하는 긍정적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배경에 깔려 있다.
박현욱 한화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철강업체 자기자본금 비율을 25%에서 40%로 상향조정하기로 한 만큼 중국 내 철강업체가 신규설비 증설 속도 조절에 나설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경우 오히려 POSCO등 국내 업체의 수출 여건은 오히려 호전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 경제 둔화에 따른 철강 소비량 감소 여파도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지난 1ㆍ4분기 중국 경제 성장률은 9.7%. 그동안 상승 탄력이 붙었기 때문에 중국 정부가 속도조절에 나선다 해도 2ㆍ4분기에는 9%대를 나타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지난해 9.1%였던 중국 경제 성장률이 경제 성장 억제책 실시로 올해와 내년에 각각 8.4%, 7.7%로 둔화될 경우 약 1% 포인트 정돛?성장률 하락이 예상된다.
양 연구원은 “경제 성장률이 1% 내외 둔화되면 중국 철강 수입량은629만톤 정도 감소하게 된다”며 “ 올해 철강 수입량이 4,500만톤에서 629만톤이 감소해도 여전히 3,871만톤이 수입돼야 하는데 이는 지난해 수입량(3,720만톤)에 비해서도 높다”고 지적했다. 올해와 내년에 중국 경제가 7~8%대로 둔화돼도 중국의 철강 수요가 급격히 위축될 가능성이 없다는 진단이다.
또한 중국 정부의 경제 성장 억제책이 철강 투자 규제로 이어질 경우 수급 균형 시기가 자연스럽게 한 템포 느려져 한국 등 주변국의 중국 수출 효과가 장기화 될 수 있다.
당초 전문가들은 중국 철강 수급 균형 시점을 2006년으로 내다 봤지만 긴축 정책에 따른 철강설비 확충 지연 결과, 오히려 수급 균형 시점이 뒤로 肩店?철강주의 중국 효과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수정 의견을 내놓고 있는 추세다.
홍병문기자 hbm@sed.co.kr
입력시간 : 2004-05-06 1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