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노무현 게이트] 盧수사에서 소환까지

[盧 前 대통령 30일 소환]<br>세종證 매각비리서 시작…정상문 수사가 결정타

검찰의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는 지난해 11월 세종증권 매각 비리 의혹을 포착, 세종증권의 모회사인 세종캐피탈을 전격 압수수색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검찰은 세종증권이 농협에 매각되는 과정에서 노무현 전 대통형의 형 건평씨와 동기동창인 정화삼ㆍ광용 형제가 개입한 사실을 밝혀내 구속 기소했다. 또 국세청 세무조사 자료를 토대로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을 조세포탈 등 혐의로 구속 기소하고, 박 회장 등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정대근 전 농협 회장을 기소했다. 지난해 12월 22일 노건평씨를 기소하면서 일단락된 검찰 수사는 약 3개월 뒤인 지난 3월 14일부터 본격화됐다. 세간에 설로만 떠돌던 이른바 '박연차 리스트'에 대한 수사에 착수한 것이다. 검찰은 태광실업 본사에서 확보한 여비서 다이어리와 각종 계좌내역, 박 회장의 진술 등을 토대로 전방위적인 수사를 벌였다. 검찰의 수사가 노무현 전 대통령을 본격적으로 겨냥하게 된 것은 이달 7일 정상문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이 박 회장으로부터 3억여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체포되면서부터다. 노 전 대통령은 자신의 '집사' 역할을 했던 정 전 비서관에 체포되자,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정 전 비서관의 혐의는 저희 집(권양숙 여사 지칭)의 것"이라며 방어벽을 구축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정 전 비서관에 대한 구속영장이 법원에 의해 기각되면서 한때 답보상태에 빠지는 듯 했다. 그러나 검찰 수사는 박 회장의 진술 등을 통해 권 여사와 건호씨가 박 회장으로부터 500만달러를 수수한 사실을 밝혀내면서 곧바로 활기를 되찾았다. 또 정 전 비서관이 대통령 특수활동비 12억5,000만원을 받은 정황을 포착되면서 구속 수감되자 수사는 절정을 치달았다. 검찰은 지난 22일 노 전 대통령에게 서면질의서를 발송하고 25일 답변을 받았다. 검찰은 드디어 30일을 노 전대통령의 소환일로 정하고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에서는 권 여사와 건호씨에게 전달된 600만달와 정 전비서관이 횡령한 12억5,000만달러에 대해 노 전대통령이 재임중에 알았는지 등이 주요 쟁점이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