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한반도 해법 논의 안보리 난항...중국 “북한 규탄 반대”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가 19일 오전11시5분(현지시간)부터 열리고 있지만, 이사국들의 견해차로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달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과 이에 맞선 한국군의 연평도 사격 훈련 계획, 그리고 북한의 보복 다짐 등으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최되는 이 회의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의 공식 요청으로 소집됐다. 그러나 이사회는 두 번의 정회를 거쳐 현지시간 오후 6시 현재 계속되고 있는 상태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들은 긴장고조의 책임이 ‘반복되는 북한의 도발행위’에 있음을 밝히고, 긴장완화를 위해 남북양측이 자제해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자는 입장이다. 하지만, 중국측은 북한을 규탄하는데 대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다소 유연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날 오전 러시아 측은 회의 소집을 요구하며 한국과 북한 양측에 대해 한반도 긴장을 높일 수있는 행동을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안을 마련, 안보리 회원국들에 배포했다. 이 초안에는 한반도 위기상황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남북 양측에 특사를 즉시 파견토록 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하지만,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은 북한 도발에 대한 규탄이 빠진 러시아 측 안에 반대했고, 영국이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수정안을 제시해 논의를 계속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돼 안보리 회원국이 아닌 한국과 북한 측 대표는 참석하지 않았으나, 박인국 대사 등 한국 대표부 관계자와 북한 유엔 대표부 박덕훈 차석대사도 회의장 밖에서 긴장한 채 회의 진행을 지켜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