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실업대란 내년이 더 걱정(사설)

기업들이 부도도미노와 증시폭락, 국가신인도 하락 등으로 내년도 사업을 세우지도 못한채 흔들리고 있다는 소식이다. 국내는 물론 해외자본시장에서 자금조달이 갈수록 어려워진 탓이다. 걱정도 이만저만한 걱정이 아니다.재계에 따르면 대기업들의 경우 국내 금융시장 불안으로 당초 계획했던 유상증자 및 회사채 발행을 포기하거나 무기연기가 속출하고 있다. 해외시장에서 주식예탁증서(DR)를 발행하려 해도 투자자들의 지나친 할인요구로 발행을 포기하는 기업들이 한 둘이 아니라는 것이다. 해외차입때 리보+ 0.3%의 금리를 적용받던 기업들이 리보+ 1.5%에도 자금 조달이 어려운 상황이 빚어지고 있다고 한다. 대기업들의 형편이 이러할진대 중견기업들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지난달 회사채 미발행률이 50%에 육박해 사상 최고를 기록한 것이 이를 반영하는 것이다. 상황이 이러다보니 내년에는 취업문이 금년보다 한층 좁아질 것으로 예상돼 실업대란이 우려된다. 일부 경제연구소들은 대학졸업자들이 노동시장에 나서는 내년 2∼3월께는 실업률이 올해의 예상치 2.6%대에서 최고 4%대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렇지 않아도 올 취업전선은 사상 최악으로 예고돼 있다. 금년 하반기 취업을 원하는 4년제 대학졸업(예정)자는 32만명선으로 추정된다. 작년 하반기보다 16%(4만명)가 늘어난 수치다. 그러나 기업들의 채용인원은 지난해의 9만2천명보다 25%나 줄어든 8만여명선에 불과하다. 단순계산만으로 4대1이다. 지난주말 입사원서를 마감한 일부 재벌그룹 가운데 그룹순위 10위권밖 기업들의 평균경쟁률은 30대1을 넘어섰다. 최고는 60.5대1을 기록했다. 90년대 들어 볼 수 없던 기록이다. 취업경쟁이 아니라 전쟁인 셈이다. 취업이 이처럼 힘들다보니 지금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휴학이나 대학원 진학이 늘고 있다. 국가자원의 낭비다. 해법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기아사태부터 해결하고 여야는 정쟁을 중지, 정국이 안정돼야 한다. 증시 부양책은 「백약이 무효」로 결론이 난 상태다. 실업대란은 사회 불안 요인이다. 기업인들이 마음놓고 기업을 경영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주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