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데스크 칼럼] 거꾸로 가는 한국 IPTV사업

[데스크 칼럼] 거꾸로 가는 한국 IPTV사업 양정록 jryang@sed.co.kr ‘인터넷이 준 또 하나의 선물’로 불리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에 대해 빨리 결론을 내야 될 때가 됐다. 통신이냐, 방송이냐는 논란에 휩싸인 채 IPTV는 지루한 논쟁만 거듭됐을 뿐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다. 해외 각국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것과 대조적인 장면이며 ‘인터넷 강국’이라는 한국의 닉네임을 무색하게 하는 헛발질로 꼽히고 있다. 인간의 의사와 정보를 전달하는 3대 요소로 꼽히는 음성, 데이터(문자), 영상은 과거 각각의 독립적인 가치사슬과 시스템을 통해 발전해왔다. 신문과 잡지(인쇄), 방송(전파), 통신(유선과 전파) 등은 이용하는 미디어에 따라 신문은 구독자, TV는 시청자, 전화는 가입자라는 이름으로 불려왔다. 그러나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모든 미디어들이 ‘인터넷’이라는 통로로 수렴되면서 이런 벽들은 깨지고 있다. 예컨대 통신의 경우 과거에는 경쟁보다 독점이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논리가 각국을 지배했으나 지난 80년대 초반부터 깨지고 전세계 통신시장은 무한경쟁체제로 들어갔다. KT의 지분 49%는 이미 외국인의 몫이다. 미디어산업의 지형이 바뀌고 있다는 징후는 주변에서도 쉽게 감지된다. 신문 뉴스를 접하는 통로가 인터넷 포털로 대체됐다. 방송도 예외 없이 인터넷을 매개로 한 뉴미디어들에 자리를 내주고 있다. NHNㆍ다음ㆍ네이트 등 국내 인터넷 포털 4사의 2005년 매출합계는 8,220억원. 국내 대형 신문 3사의 매출합계 약 1조원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3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8강전 경기 때 야후의 인터넷 중계 시청자 수는 160만명으로 KBS 등 지상파 방송의 시청자 수인 140만명을 넘었다. 전문가들은 이것조차 “이제 시작일 뿐”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디지털과 인터넷 기술의 ‘빅뱅’으로 미디어산업의 진입장벽이 현저히 낮아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된다는 것이다. 국내 미디어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존 규제와 정책 툴들을 전면 재검토해야 된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그리고 그 첫 단추가 IPTV다.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통해 수백개의 채널을 케이블TV와 유사한 형태로 각 가정에 TV수상기로 제공하는 서비스지만 통신회사(KT)가 방송을 한다는 이유로 방송계의 반발을 사고 있는 방송과 통신 융합시장의 최접점이다. PC 모니터 대신 텔레비전 수상기를, 마우스 대신 리모컨을 사용하기 때문에 컴맹이라도 간단한 리모컨 조작만으로 TV라는 ‘창’을 통해 가장 편안한 자세로 TV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산업적 폭발력도 크다. 국내에서 쌓여진 관련 기술들과 콘텐츠 제작기술들은 곧바로 해외수출로 이어질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세계적 표준으로 수렴돼가고 있기 때문에 관련 기술 하나하나는 곧바로 세계시장을 장악할 수 있는 규모의 경제를 쉽게 갖출 수 있다. 이런 IPTV가 첫발조차 떼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정통부와 방송위 등 관련 정부기관과 기존 방송계는 이제 분명한 대답을 해줘야 한다. 시청자로서는 방송이 안방에 전달되는 데 만족할 뿐 전파냐, 케이블TV냐, 인터넷이냐는 논쟁은 아무 의미가 없다. IPTV의 정책당국이 방송위냐, 정통부냐도 마찬가지다. 지지부진한 논의는 이제 끝내고 국가산업, 국민의 관점에서 실리를 찾아야 된다. 아날로그 시대적 관점에서 벗어나 디지털 시대에 맞는 ‘게임의 룰’에 빠르게 적응해야 될 때가 됐다. 인류역사 중 지난 5,000년의 변화는 앞서 10만년보다 더 컸고 지난 200년의 변화는 과거 5,000년보다 더 컸으며, 2차 세계대전 후 지난 50년의 변화는 과거 200년의 변화보다 더 컸다는 게 역사학자들의 증언이다. 앞으로 50년간 진행될 변화는 과거 50년의 변화보다 몇십배 더 빠르고, 크게 진행될 것이라는 데도 의견일치다. 그 변화의 중심에 인터넷이 있다. IPTV로 상징되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서비스는 시대적 흐름이다. 규제는 시장진입 후 잘못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로 작동돼야 하는 만큼 국민은 물론 국가 디지털경제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IPTV 서비스 도입이 신속하게 결정돼야 맞다. 입력시간 : 2006/06/08 17:0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