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 5일제 순조롭게 정착"

대부분 기업 임금삭감 없이 권고규정 준수

지난달 1일부터 공기업과 1,000명 이상 고용 민간기업, 금융보험업을 대상으로 시행에 들어간 주5일제(주40시간제)가 근무일수 축소에 따른 임금 삭감 없이 비교적 순조롭게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지난달 31일 현재 공공부문 282개 업체 중 91.8%(259개사)가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라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건강보험공단을 제외한 258개사는 월차휴가 폐지와 연차휴가 조정(15∼25일, 2년당 1일 가산), 생리휴가 무급화 등 개정법에 따라 휴가를 조정했다. 건강보험공단은 내년 4월까지 유급 생리휴가를 유지하고 연차휴가도 12년차 근무자부터는 1년마다 하루씩 가산하기로 단체협상을 통해 결정했다. 또 기존 임금수준 및 시간당 통상임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노사가 노력한다는 권고 규정도 비교적 잘 지켜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000명 이상 고용 민간기업들은 지난달 31일 현재 전체 420개 기업 중 70.7%(297개사)가 개정 법에 따라 단체협상이나 취업규칙을 변경했다. 이중 85.5%(254개사)는 휴가를 개정 법대로 조정했고 4.4%(13개사)는 일부 축소했고 10.1%(30개사)는 종전 휴가를 유지했다. 현대ㆍ기아ㆍ쌍용ㆍGM대우자동차 등과 현대중공업 등은 대부분 현행 휴가제를 유지하면서 주5일제를 도입하기로 합의했다. 반면 내년 7월부터 연차적으로 주5일제가 예정된 1,000명미만 고용 기업중에서도 조기 도입을 신고한 업체가 791개사(근로자 10만775명)에 이르렀고 이중 92.5%가개정 법대로 휴가를 조정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