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004 한국건축문화大賞] 주거부문 본상 '연하당'

가족간 소통·회화적 분위기 살려'

급변하는 사회에서속에서 가족과 인간의 삶에 대한 개념 역시 달라지고 있는 오늘날, 주거가 담당해야 할 가장 큰 역할은 무엇인가. 연하당은 이 같은 오늘날 주거공간의 역할에 대한 대답을 탐구하고 있다. 이 작품은 가족을 결집시키고 서로 아끼게 만드는 것이 가장 큰 주거의 역할이라고 보고 서로 다른 관심사와 생활패턴을 가진 부도세대와 가족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설계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집 중앙부분에 마당과 집의 각층을 연결하는 계단을 마련했다. 중앙 마당과 계단이 집안의 여러 공간을 통합ㆍ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중앙 마당은 집의 어느 공간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 중앙마당을 둘러쌓고 있는 투명한 유리창은 이를 통해 각 공간에 거주하고 있는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계단은 가족 구성원들의 잦은 만남을 유도한다. 계단의 시작점은 거실입구이면서 부모실 전면에 위치해 있다. 가족 구성원의 다양한 행위를 담아낼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을 마련했다. 2층 전면부분에는 전망을 만끽할 수 있도록 퍼골라(덩굴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지붕을 올린 테라스)를 만들어 루(樓)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했다. 또 3층에는 길다란 모양의 스튜디오를 만들어 다양하게 쓰일 수 있도록 했다. 당호(堂號)인 연하(燃霞)는 조선중기 석학 퇴계의 시 구절에 등장하는 단어를 빌려왔다. ‘안개가 껴서 뿌연 풍경’이라는 뜻으로 한국의 은은한 회화적인 분위기를 물씬 풍기는 의미를 갖고 있어 이 건축물과 잘 맞아 떨어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