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동해 해류도 봐도 '독도는 우리땅'

국립해양조사원은 1993~2008년 인공위성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진 동해 해류도를 분석한 결과 독도가 과거에도 우리 영토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고 31일 밝혔다. 해양조사원에 따르면 대한해협을 통과해 동해로 유입된 대마난류는 세 개의 분지류(동한난류, 외해분지류, 일본 연안분지류)로 갈라진 뒤 다시 만나 사행(蛇行ㆍ뱀 모양과 같이 굽이쳐 흐르는 것)해 소용돌이를 만든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동한난류는 울릉도 북쪽 해역을 지나면서 동쪽으로 흐르거나 굽이 흘러 독도 해역으로 남하한 뒤 일본 오키군도 부근에서 북동방향으로 흐른다. 외해분지류와 일본 연안분지류는 울릉도와 독도까지 올라오기 전에 동쪽으로 빠져나간다. 해양조사원은 한반도 내륙에서 울릉도를 거쳐 독도로 흐르는 해류와 울릉도와 독도에서 발생하는 시계방향의 소용돌이는 기원전부터 독도에 대한 우리의 접근성과 영향력을 강하게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1,000~2,000년 전에는 해류를 따라 한반도에서 울릉도, 독도, 오키군도로 가는 것이 쉬웠으나 오키군도에서 독도 방향으로는 해류의 흐름을 거슬러야 해 항해가 쉽지 않았을 것으로 분석했다. 즉 표층해류흐름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합리적으로 제시해 준다고 설명했다. 해양조사원은 이를 재현하기 위해 고대에 사용했을 뗏목이나 통나무배를 이용해 울릉도와 독도 사이 왕복항해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