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발전기금 1,000억 모아 세계적 연구소 도약"

한홍택 KIST 원장 간담회


"세계적 연구소로 도약하려면 정부 지원 예산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오는 2015년까지 세계 상위권 연구소로 진입하기 위해 발전기금 1,000억원을 모을 생각입니다."

지난해 8월 이공계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최초의 외국인 원장으로 취임해 화제를 모았던 한홍택(68)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은 취임 1주년을 맞아 31일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본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세계적 연구소로 도약하기 위해 '글로벌 KIST 캠페인'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 원장은 "개방형 혁신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해외 석학과 연구자들을 초빙하려고 해도 정주 여건이 미흡해 어려움이 많다"면서 "기업 등으로부터 기탁 받은 발전기금을 외국인 숙소 건립 등 글로벌 빌리지를 조성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 원장은 취임 후 녹색, 실버, 융ㆍ복합을 중심으로 중점연구 영역을 재설정하고 핵심 원천기술을 발굴하는 데 주력해왔다. 특히 KIST가 개발한 원천기술을 실용화하는 '엔터프레너사업'을 강화해 '솔라 LED 조명등'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한 원장은 "솔라트리, 바이오닉스, 나노 기반 인쇄전자기술, 필드로봇 등 앞으로 3년 내 국가와 사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사업에 집중투자하고 있다"면서 "KIST가 가지고 있는 기술을 적극적으로 사업화하기 위해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한 원장은 취임 1년간 조직개편과 우수인력 확보 등을 통해 재도약을 위한 토대가 마련됐다고 보고 이제부터는 세계 수준의 연구소(WCI)가 되기 위한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미국과 유럽ㆍ아시아ㆍ중동 등 전세계에 걸쳐 개방형 혁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국방 연구개발(R&D)에도 적극 참여할 방침이다. 또 연구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고급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KIST 아카데미 설립도 추진 중이다.

이들 사업의 예산은 글로벌 KIST 캠페인을 통해 모금된 발전기금으로 충당할 계획이다. 2015년까지 1,000억원을 모금하는 것이 목표다. 한 원장은 "얼마 전 한 기업을 방문해 발전기금 얘기를 꺼냈더니 '요즘 회사 경영이 어렵다'며 손사래부터 치더라"면서 "기금을 모으는 일이 쉽지 않겠지만 대학 총장들처럼 열심히 뛰어다닐 생각"이라고 말했다.

한 원장은 취임 후 성과가 뛰어난 책임급 연구인력을 석좌연구원으로 임용하고 개인평가제도도 성과 중심의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등 근무환경을 크게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같은 변화가 연구 성과 창출로 이어져 KIST 연구원들의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급 게재 논문이 전년 대비 13.1% 증가하고 특허 출원과 등록 건수도 각각 16.3%, 40.4% 늘었다.

한 원장은 "2018년까지 약 2조5,000억원을 투입해 100조원의 경제 가치를 창출하는 신성장동력의 선도 역할을 KIST가 맡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