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직진입 장벽낮춰… 학위·경력등 자격요건 완화

지자체.지방교육청 국가공무원도 고위공무원단으로 활용<br>정무직 등 후임자 직무승계계획 마련..인재발굴팀 운영

우수한 인재의 공직 유치를 위해 지나치게 까다롭게 돼 있는 기존의 학위.경력 자격요건을 대폭 완화하고 민간경력의 인정범위를확대하는 등 공직진입 장벽을 낮추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내년부터 도입하는 고위공무원단에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교육청 국가공무원까지 포함시켜 지자체와 부처간 인사교류를 활성화시키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가인재를 적극 발굴해 활용하기 위해 정무직 등 주요 직위 후보자를 발굴해 정무직 등에 대한 직무승계계획을 사전에 마련키로 했다. 조창현 중앙인사위원회 위원장은 25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올해 업무계획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중앙인사위는 공직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개방형 직위와 부처간 국장급 인사교류를 실.국장급에서 과장급까지 확대하고 공직임용 자격기준중 학위.경력 등 자격요건을 완화하며 민간경력 인정 범위를 확대하는 대신 심층 면접을 통해 능력.실적요건 검증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정부운영의 핵심적인 계층인 실.국장급 국가공무원을 풀제로 범정부적으로관리하는 고위공무원단에 일반직, 별정직, 외무직 등 중앙부처 공무원 뿐만 아니라지자체와 지방교육청 국가공무원까지 포함시킬 계획이다. 고위공무원단 소속 공무원들의 자질관리를 위해 정기(매 5년) 또는 수시(부적격사유 발생시)로 적격성 심사를 실시, 성과평가에서 최하위 연속 2년 또는 총3년, 정당한 사유없이 총 2년간 무보직 상태에 있으면 부적격자에 대해 직권면직 등 인사조치를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정무직 등 주요직위 후보자를 발굴해 정무직 등에 대한 직무승계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인재발굴팀을 운영하고 또 민간 부문과 협의체를 만드는 등 다원화된 인재발굴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고위공직자 검증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 연 2회 정무직 후보 공무원에 대해자기 실적기술서를 확보하고 출판물과 인터넷, 언론 등의 평가도 자료로 수집, 축적해 나가는 한편 개방직과 정부위원회 위원 등을 인선할 때 인재데이터베이스 활용을제도화할 방침이다. 이 밖에 오는 6월 대학 졸업자나 예정자 가운데 우수인재를 대학에서 추천받아선발하는 지역인재추천채용제를 실시, 올해 50명을 선발해 3년간의 인턴기간을 거쳐6급 이하 공무원으로 임용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선발에서는 특정 광역시도 소재 대학 출신자가 10%를 넘지 못하도록할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