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어린이 안경테선택 신중하게"

얼굴형태·크기 안맞으면 교정효과 감소·두통등 유발안경을 착용하는 우리나라 초등학생 10명 중 7명이 자신의 얼굴형태와 맞지 않는 안경테를 착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안경테를 어린이 얼굴구조를 고려하지 않고 외국의 안경테를 모방하거나 대부분 성인용 안경테를 축소형으로 제작하기 때문이다. 서울보건대학 안경광학과 이군자 교수팀은 2001년 7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초등학교 3∼4학년 어린이 320명(남자 142명, 여자 178명)을 대상으로 '한국 어린이(평균 10.5세)에 적합한 안경테 설계를 위한 계측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 어린이 안경 착용자의 67.5%에서 안경착용 상태가 적절하지 못했으며 28%의 어린이가 안경착용이 매우 불편하다고 느끼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 교수팀에 따르면 안경착용 시 불편한 점으로는 ▦안경테가 흘러 내리거나(41%) ▦코(31%)ㆍ귀(15%) 부위를 누르는 경우가 많았다. 또 어린이들(67.5%) 가운데 안경테 착용이 적절치 못한 유형으로는 동공과 안경테 중심이 맞지 않거나 코 받침이 넓은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46.4%), 귀 부위에서 다리꺾임 부위의 위치가 길거나 짧은 경우(25.9%), 측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안경테 다리의 평형이 맞지 않는 경우(22.2%), 정면에서 안경의 좌우 수평이 어긋난 경우(5.4%)가 많았다. 안과 전문의들에 따르면 얼굴에 맞지 않는 안경테를 무리하게 조정할 경우 안경테의 정간거리(각막과 안경렌즈 사이거리), 경사각 등이 달라질 수 있어 안경으로 시력교정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심할 경우 물체의 크기 변화, 두통, 안정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 이교수의 설명이다. 이 교수는 "안경이 코나 귀 부위를 누르게 되면 이 부위의 혈관 및 신경, 근육 등이 압박을 받아 통증이나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면서 "어린이용 안경테를 선택할 때는 모양보다는 얼굴크기에 맞는 것을 선택하고, 주기적으로 안경테를 재조정 받을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