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빈부격차 심화가 경제성장 걸림돌"

NYT "저축·투자 위축에 노동생산성 떨어져"

빈부격차 심화가 경제성장의 큰 걸림돌로 지적됐다. 뉴욕타임즈(NYT)는 25일(현지시간) 사회 내 빈부격차가 확대되면 ▦의료비용 증가 ▦부패만연 ▦부자들에 편향된 경제정책 ▦심리적인 박탈감 등으로 자원배분이 왜곡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면서 경제 성장률이 하락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경우 상위 1% 계층이 전체 소득의 16.2%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위 10% 인구가 전체 소득의 42.9%를 장악하고 있는데 이는 과거 65년래 가장 큰 소득격차다. 빈부격차는 가난한 계층의 질병 양산과 의료비용 부담가중으로 이어져 저축과 투자를 위축시키고 저임금 근로자들의 노동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마이클 마모트 런던대학 공공위생학 교수의 조사 결과, 부자와 가난한 자의 소득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미국이 영국보다 질병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빈부격차는 사회부패를 조장한다. 워싱턴대학의 산지브 카그램 공공정책학 교수는 “부와 정치권력의 변화가 심한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빈부격차가 심할수록 계층상승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부패가 만연해 진다”고 지적했다. 또 지나친 소득격차는 부자들에게 유리한 경제정책을 수립할 위험도 있다. 에드워드 글래저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는 “부자들은 정치권력도 함께 확보하면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경제정책을 유도할 수 있다”면서 “가난한 자들의 희생으로 부자들은 더 큰 부자가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빈부격차는 근로자들의 상대적인 박탈감을 초래해 업무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최고경영자(CEO)와 임원들이 보너스와 스톡옵션을 포함해 수천만 달러의 연봉을 받는 상황에서 근로자들은 사기저하로 생산성 저하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