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증시 상장국가 다변화 가속

거래소, 높아진 위상 바탕 상장기업 중국 위주에서 MSㆍIBMㆍ로열더치셸 등 글로벌 기업으로 확대 작업 속속 진척


한국증시를 국제화시키기 위한 한국거래소(KRX)의 장기 구상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 증시에 상장된 외국 기업은 중국업체가 대부분이었지만 미국 등 글로벌 기업들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장 유치작업이 탄력을 받으면서 상장국가의 다변화가 가시권에 접어들고 있는 것이다. KRX는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상장유치 대상을 유럽과 동남아 등으로 넓힘으로써 2015년 글로벌 톱10 거래소로 부상한다는 구상을 그려놓고 있다. 5일 KRX에 따르면 현재 국내 증권사와 상장을 위한 주관사 계약을 체결한 해외기업은 모두 11개국 76곳에 달한다. 한국 상장을 위한 주관사 계약을 체결한 기업은 2009년 6개국 44개에서 지난해 10개국 65곳으로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더욱 긍정적인 것은 국내에 상장된 기업의 소속 국가들이 점차 다변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는 국내 증시 상장을 위해 주관사 계약을 체결한 해외 기업 가운데 중국기업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 비중은 서서히 줄어들고 있다. 그 자리를 다른 아시아나 미국 등의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증권사와 주관사 계약을 맺은 기업 가운데 중국의 비중은 2009년의 70.5%에서 지난해 58.5%로 줄어든데 이어 올해는 57.9%까지 떨어졌다. 거래소가 제너럴모터스(GM)의 국내 상장을 위한 1차 미팅을 가진 것은 한국 증시의 국제화를 위한 이 같은 장기 구상을 실천하기 위한 포석이 담겨 있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실제 성사 여부를 떠나 이번 GM과의 접촉이 KRX의 글로벌기업 유치에 있어서 상당한 힘을 보탤 것으로 보고 있다. KRX가 GM 정도의 글로벌 기업이 상장을 고려할 정도로 위상이 높아졌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KRX의 한 관계자는 “GM의 상장 유치에는 홍콩과 상하이 증시도 뛰어들고는 있지만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때 GM의 한국행이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귀띔했다. KRX가 글로벌 우량기업의 상장유치에 집중하는 것은 KRX의 글로벌화를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김봉수 KRX 이사장은 올해 신년 기자간담회에서도 “KRX를 오는 2015년에 글로벌 10위, 2020년 내 5위권까지 끌어올릴 것”이라며 글로벌 100대 기업 상장유치를 주요 과제로 꼽았다. 과거보다 KRX의 위상이 높아진 점도 자신감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KRX는 특히 최근 증시 상승률에서 세계 최고 수준에 올라있다. 지난해 세계증시 시가총액이 전년보다 14.85% 증가했는데 KRX는 30.83% 늘어 상승률이 두 배 이상 높았고, 지난 2009년 세계증시 시가총액이 6.27% 늘어날 때도 KRX는 18.34% 증가해 세계 평균을 한참 웃돌았다. 또한 라오스 증권시장 개설 등 국내증시 시스템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KRX의 이름값을 높이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2009년부터 연합과기, 중국원양자원, 중국고섬 등 중국기업들의 불투명성이 불거지고 있어 그동안의 중국 위주의 상장 유치 전략에 대한 수정 필요성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KRX는 앞으로 미주ㆍ유럽ㆍ동남아 등 현지 방문을 통한 상장설명회를 꾸준히 열 계획이다. 오는 11월 실리콘밸리가 있는 미국 서부지역을 방문할 예정이고, 6월에는 일본에서 삼성증권과 공동으로 상장설명회를 연다. 10월에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공동으로 영국을 찾아갈 계획이며 당장 다음달에는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동남아 한상(韓商)대회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김갑래 세종대학교 교수는 “글로벌 우량기업을 유치함으로써 우리 거래소가 커지면 한국 자본시장의 인프라 자체가 확대되는 것”이라며 “글로벌 기업을 많이 유치할 경우 KRX의 위상이 높아져 세계 거래소들과의 각종 협상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다만 “글로벌 우량 기업을 제대로 유치하기 위해서는 현재 국내 기업에만 너무 초점이 맞춰 있는 상장제도 등 KRX 규정도 발전적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