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월국회도 '빈손'

대규모 해외출장·정치 쟁점 영향

이통사유통법·근로시간 단축법 등 처리 못하고 4월국회로 넘겨

1주일밖에 남지 않은 2월 임시국회가 의원들의 대규모 해외출장, 정치 쟁점을 둘러싼 여야 간 다툼으로 삐걱거리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유통법·크루즈산업법·근로시간단축법 등 주요 법안 논의가 사실상 4월 국회로 넘어가면서 이번 국회도 '낙제점'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여야가 20일 국회 본회의를 열어 처리한 안건은 조희대 대법관 임명동의안,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 특별법 등 27개에 불과했다. 그마저도 한중의원교류를 위한 방중, 소치올림픽 참석, 국회의장 해외순방 동행 등 공식일정을 이유로 해외로 떠난 60명에 이르면서 평소보다 낮은 출석률에 회의가 열렸다. 새누리당에서는 법안 처리를 위한 의결정족수(전체 의원의 과반수)를 채우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까지 나왔을 정도다.


통신사의 과도한 보조금 경쟁으로 진흙탕으로 변한 휴대폰 유통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유통법, 박근혜표 경제활성화 법 중 하나인 크루즈산업법, 주 68시간인 근로시간을 52시간으로 줄이는 근로시간 단축법 등 법안은 저조한 심의 진도율로 2월 국회 중 통과에 '빨간불'이 켜졌다. 여야는 일단 4월 국회 처리를 목표로 법안 심의를 계속하겠다는 계획이지만 6·4지방선거로 들뜬 국회에서 내실 있는 논의가 이뤄지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관련기사



이날 상임위원회 문턱을 넘을 것으로 예상됐던 우리금융지주 내 지방은행 계열사 매각을 촉진하기 위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통과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안홍철 한국투자공사(KIC) 사장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을 '종북 하수인'이라고 지칭하는 등의 트위터 글을 남긴 데 반발하며 민주당 소속 국회 기획재정위원회들의 '일정 보이콧'이 이어진 탓이다.

기재위 민주당 간사인 김현미 의원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안 사장 같은 사람을 사퇴시키는 게 공공기관 개혁 정상화의 첫걸음"이라며 "(우리금융지주 계열사 매각은) 중요한 국가적인 문제인데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라도 안 사장이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임시국회가 매번 제대로 된 입법 성과를 내지 못하자 여야 원내지도부는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한 달이라는 짧은 활동기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교섭단체 대표연설, 대정부질문, 상임위원회 법안심사 순으로 진행되는 일정을 바꾸는 방안까지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과 대정부질문을 4~5일 하고 나면 상임위를 할 기간이 거의 확보가 안 된다"며 "여야 원내대표 간에는 임시국회만이라도 상임위 활동기간 확보를 위해 대정부질문과 상임위 순서를 조정하는 방안을 여야 원내대표 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