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신용등급 최하위층 174만명에 육박

가계부채 위험상태도 여전

국내 신용등급 최하위 등급의 위험계층이 국내에서 174만명에 육박하고 이들의 1인당 평균 부채 규모도 금융위기 이후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기준금리 인상시 이들 계층에 직격탄이 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20일 한국신용정보의 크레디트뷰로(CB)연구소가 발간한 '가계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1~10 신용등급 가운데 최하위 위험등급인 9~10등급은 173만9,840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9등급은 105만8,697명으로 1인당 평균 대출 규모(은행연합회 자료 기준)는 1.79건, 2,614만원으로 조사됐다. 지난 2008년 말의 2,435만원보다 부채가 평균 7.4% 늘어난 것이다. 또한 10등급은 1인당 평균 2.58건에 5,410만원의 대출을 받고 있어 2008년 말(5,242만원)보다 빚이 3.2% 늘었다. 9~10등급은 현재 대출 연체 중이거나 심각한 연체 경험이 있는 계층이어서 앞으로 대출금리가 올라가면 '자부담 증가→채무 불이행 심화→금융 소외계층으로 고착화'의 굴레에 갇힐 수 있다. 전반적인 가계부채 문제도 여전히 위험 상태다. 한신정에 따르면 가계보유 대출의 건전성지수는 지난해 말 80.3이던 것이 올 3월 말에는 81.2를 기록해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수가 80 미만이면 '위험'을 의미하며 80~100은 '정밀관찰', 100~120은 '주의관찰', 120 이상은 '정상'을 뜻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