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표준硏, 임상진단 검사용 인증표준물질 개발

고지혈증ㆍ당뇨병 진단 정확도 향상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바이오임상표준센터 이화심 박사팀은 질병진단을 위해 사용하는 진단장비 교정용 인증표준물질 개발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인증표준물질이란 표준기관이 성분의 양을 정확히 측정, 정확한 농도 값을 불확도와 함께 제공하는 물질을 뜻한다. 검사기관은 이 물질을 기준으로 장비의 교정, 검사 방법의 적절성, 기관의 검사능력의 점검 등에 사용한다. 이번에 개발한 물질은 당뇨병 진단 및 혈당계 교정을 위한 글루코오스,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 진단을 위한 콜레스테롤, 신장병 진단을 위한 크레아티닌 및 혈중요소질소, 스트레스 호르몬 및 통풍 등 진단검사결과의 신뢰성 확보에 필수적인 물질들이다. 연구팀은 최상위 측정법인 ‘동위원소희석 질량분석법’을 활용, 측정 방법이나 물질이 존재하는 환경인 매질에 따라 다른 값을 줄 가능성을 근원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국제적으로 수용이 가능한 최고수준의 정확한 인증값을 산출했다. 이번에 개발한 인증표준물질을 활용하면 검사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화심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인증표준물질은 관련 산업의 수출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며 “새롭게 요구되는 각 병원의 수요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진단검사 분야의 인증표준물질 개발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향후 고지혈증 마커로 중성지방 및 비타민류, 헤모글로빈-당화혈색소 등 측정정확성이 특별히 요구되는 항목에 대한 인증표준물질을 개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