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꿈의 종합독감 항체치료제' 탄생 청신호

셀트리온, 동물실험서 예방ㆍ치료 효과 입증

국내 바이오업계의 대표주자인 셀트리온이 신종플루와 조류독감 등 각종 독감을 치료ㆍ예방하는 ‘꿈의 종합독감 항체치료제’를 위한 수퍼항체 개발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국내 세브란스병원,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과 공동 개발중인 종합독감 항체치료제가 연내 전임상 및 임상시험을 거쳐 최종 제품화될 경우 우리나라 최초의 글로벌 블록버스터 바이오 신약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정진 셀트리온 대표는 이날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다양한 변종 독감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수퍼 항체치료제를 개발해 동물실험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며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바이러스 치료의 돌파구를 마련한 것은 물론, 유사 바이러스성 질환 극복의 기반을 갖추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에 개발 중인 종합독감 항체치료제는 신종플루 회복 환자로부터 채취해 개발한 항체로 독감 바이러스를 사멸시킨다. CDC의 동물ㆍ비동물 실험 결과 신종플루(H1)와 조류독감(H5), 아시아독감(H2), 계절독감(H1) 등 주요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ㆍ치료 효과가 확인됐다고 셀트리온은 전했다. 현재 전세계에서 종합독감 항체치료제 개발에 나선 것은 셀트리온 외에 미국 하버드대학과 네덜란드 크루셀(Crucell) 등이 있다. 하지만 경쟁사의 경우 동물실험에서의 바이러스 사멸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데다 사실상 H5 바이러스에 효능이 집중돼 진정한 의미의 수퍼항체는 셀트리온이 세계최초로 볼 수 있다는 것이 회사측 주장이다. 셀트리온은 오는 7월까지 동물에서 독성을 확인하는 전임상시험을 마치고 9월부터 사람을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에 돌입, 내년 상반기 상용화를 위한 대량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세계시장을 타깃으로 한 보급형 치료제로 출시하기 위해 제품 가격은 100달러를 밑도는 수준으로 책정할 계획이다. 서정진 대표는 “전세계의 독감 환자가 매년 8억명, 입원환자도 800만명에 달한다는 추산을 감안할 때 100달러 정도의 가격대라면 시장규모가 매년 수천억에서 수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 대표는 이어 “이번에 고안한 개발 프로세스와 기술을 기반으로 추후 AㆍBㆍC형 간염과 에이즈 등 바이러스 질환 극복을 위한 치료제 개발에 나서게 될 것”이라며 “지금까지 손을 대지 못한 분야에 대한 솔루션을 보급형 가격으로 제공하는 것이 한국 생명공학기업으로서의 차별화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