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企 정책자금 확보 '불꽃경쟁'

경기침체·금융권 투자기피로 자금난 심각<br>충청권 신기술 보육사업 경쟁률 무려 5대1<br>대구 특화기술 지원에도 신청액 2배 넘어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지역 중소ㆍ벤처기업들이 금융기관의 융자 또는 투자유치가 여의치 않자 각종 정책자금을 확보하는데 혈안이 되고 있다. 이들 기업들은 지자체가 조성한 정책자금은 물론 중소기업청 등 정부부처가 마련해놓고 있는 정책자금에 대해서도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최근 충남테크노파크가 대전, 충남ㆍ북지역 신규창업기업 또는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2004년도 신기술보육사업을 접수한 결과, 모두 93건의 과제가 접수돼 평균 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기계기반부문 등 7개 부문으로 나누어 접수한 결과, 소프트웨어부문에는 순천향대 지소프트웨어 등 18개 기업이 지원신청하며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AㆍB로 구분해 접수한 전기전자부문에는 각각 15개 기업이 신청했으며 기계기반부문에도 생산기술연구원의 웨스글로벌㈜ 등 15개 기업이 과제를 제출했다. 이들 과제 중 선정된 과제에 대해서는 1억원이내에서 시제품 개발 등 신기술 사업화에 소요되는 자금을 무담보ㆍ무이자로 제공된다. 지자체가 지원하는 정책자금에 대한 업체들의 도전도 치열하다. 대구시가 최근 특화기술개발자금지원 공고를 하고 신청 접수를 결과, 58억원의 예산이 배정된 섬유부문에 77개 과제 137억원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청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 기술연구회 사업에 참가하기 위한 업체들의 도전도 대단했다. 12개 과제를 선정하는 2004년도 기술연구회 사업에 52건이 접수됐다. 사업 첫해에는 소문이 나지 않았으나 선정과제에 대해 2년간 3억원내외의 자금이 전폭 지원된다는 소식에 많은 업체들이 대학 및 연구소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가했기 때문이다. 충남테크노파크 관계자는 “금융권 및 창투사의 투자기피와 업계의 경기침체 등으로 중소ㆍ벤처기업들이 자금을 확보하는데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며 “정부와 지자체 등이 중소ㆍ벤처기업 지원을 위해 마련하고 있는 각종 정책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이 치열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