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천안함 침몰] 與 "초당적 대책 마련을" 강조

野 "靑·軍 초기대응 미숙" 질타<br>한나라 "지방선거 악재될까" 촉각-민주 "진상조사특위 구성해 논의를

원태호(왼쪽)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부장이 2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긴급 원내대책회의에 참석, 천안함 침몰사건 보고를 준비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여야는 해군 초계함 '천안함' 침몰 나흘째인 29일 조속한 실종자 구조와 철저한 사고 진상 규명 및 공개를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그러나 6ㆍ2지방선거 등을 앞두고 있는 만큼 사고의 파장을 예의주시하면서 사고의 원인과 당국 대응조치, 진상 규명 방법 등에 대한 엇갈린 해석을 내놓았다. 한나라당은 천안함 사고가 민심이반으로 옮겨붙어 6ㆍ2지방선거의 악재로 작용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반면 야당은 청와대와 군의 초기 대응 미숙을 질타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일체의 정쟁 중단과 함께 국회 상임위 중심의 초당적인 대책마련을 강조한 반면 민주당은 국회 내 진상조사특위 구성을 요구했다. ◇與, "국회 상임위 차원 초당적 대책 마련"=정몽준 대표는 전날 평택 2함대를 방문해 실종자 가족들을 위로한 데 이어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 "실종자 가족들의 아들을 찾아달라는 애원에 참으로 애통하고 참담한 심정이었다"며 "마지막까지 한 사람이라도 더 구조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국회는 일체의 정쟁을 중단하고 관련 상임위를 지속적으로 가동해 실시간으로 상황을 파악하는 동시에 초당적 협력을 통해 모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순자 최고위원은 "실종 장병들이 무사히 가족 품으로 돌아오도록 정부당국이 목숨을 걸어야 한다"면서도 "이번 사고와 관련해 정부당국이 정보를 애써 막으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은 이번 일이 마무리될 때까지 중앙당에 상황실을 유지하고 전국 16개 시ㆍ도당은 비상대기 자세로 근무하도록 지침을 내렸다. 또 최고위원회와 국방위원들은 공동 비상대책위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한편 이날 오전 열릴 예정이었던 '세종시 6인 중진협의체'는 초계함 침몰 사건의 여파로 하루 순연됐다. ◇野, "국회 내 진상조사특위 구성해 논의하자"=민주당은 사건 초기 비난을 자제하던 태도에서 벗어나 안보정책 전반의 문제로 확대하고 있다. 함정침몰의 원인이 외부 공격이라면 군의 대응태세가, 내부폭발이라면 군의 기강해이가 문제라는 지적이다. 정세균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에서 "이번 사고에 대해 신속하게 진상을 파악해 국민의 걱정을 덜고 유사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며 "우리는 당내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사고를 잘 수습하고 앞으로 안보태세를 철저하게 점검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강래 원내대표는 이날 국방부로부터 사고 관련 보고를 받은 긴급 원내대책회의에서 "당시의 사건 현장에서 초기 대응이 수칙대로 정상적으로 진행됐는지 의문"이라며 "이명박 대통령이 네 차례나 긴급안보관계장관회의를 개최했지만 어떤 것도 밝히지 못하는 속사정이 무엇인지 국민들은 궁금해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예비역 육군대장 출신인 서종표 의원은 "처음 사고원인을 외부와 내부로 판단했을 때 외부 충격에 따른 침몰을 배제하고 내부 충격에 의한 폭발이라는 발언이 계속 나왔는데 최근 함정이 반파돼 함미가 4마일 움직이니 이제 내부 폭발은 아닌 것으로 규명되고 있다"며 사고원인의 축소ㆍ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은 문희상 국회 부의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당 진상조사특위를 구성했으며 국회 정보위 소집과 함께 국회 차원의 별도 특위 구성을 요청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