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신종파생상품 리스크 관리기준 만든다

금융감독당국 연내에

은행ㆍ증권ㆍ보험사 등 국내 금융기관들의 파생상품 관리, 내부통제 시스템이 양호하게 가동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주가연계 예금, 증권 등 신종 파생결합상품에 대해서는 리스크 관리에 대한 기준이 아직 마련되지 않아 금융감독당국이 연내에 이의 기준을 도입할 것을 준비 중이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은행ㆍ증권ㆍ보험사의 파생상품 거래에 대한 실태점검을 실시한 결과 주가연계증권(ELS), 주가지수연동예금(ELD), 신용연계채권(CLN) 등 주로 신종파생결합상품에 대한 투자 및 관리에 대한 기준이 미비해 관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기관들이 회계처리 등에서 위험자산과 비위험자산에 대한 구분을 명확히 처리하지 않고 있다. 국내 금융회사가 보유 중인 파생결합상품은 36조여원 정도로 은행 13조원, 자산운용사 11조원, 증권사 7조원, 보험사 4조원, 외국계 은행 1조원 규모다. 시중은행 파생상품 담당자는 “신종파생상품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파생상품 관리가 전반적으로 양호했다”면서 “신종 파생결합상품에 대해서는 연말까지 가이드라인, 리스크관리 모범규준을 개정하는 등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