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연구원이 29일 펴낸 ‘식품 수급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자료를 보면 가계 식료품비 지출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까지 20% 수준에 불과했다. 이 비중은 꾸준히 올라가 2003년 44%에서 2007년 45.2%, 지난해 46.6%까지 높아졌다.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가공식품의 비중도 2003년 23.6%에서 지난해 25.4%로 높아졌다. 반면에 육류, 생선, 채소 등의 신선식품 비중은 같은 기간 32.4%에서 28%로 크게 낮아졌다. 여성의 사회 진출 등이 확대되면서 복잡한 조리가 필요한 신선식품 구매가 줄고, 외식비나 가공식품 구매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소득계층별 식품소비를 보면 지난해 상위 40%의 월평균 식품비 지출은 81만9,000원으로 하위 40%(46만2,000원)의 두 배에 가까웠다. 식품비 격차가 이렇게 벌어진 데는 외식비의 ‘빈부격차’ 영향이 컸다. 상위 40%의 외식비는 한달에 40만6,000원에 달했지만 하위 40%는 17만8,000원에 불과했다.
한국인의 식단은 빠르게 서구화하고 있었다. 1980년 132.9㎏에 달했던 연간 쌀 소비는 2010년 81.5㎏으로 급감했다. 감자, 고구마 등의 서류 소비도 같은 기간 21.5㎏에서 13.8%로 크게 줄었다. 반면에 육류 소비는 13.9㎏에서 43.5㎏으로 급증했다. 과실류도 16.2㎏에서 44.2㎏로 크게 늘어났다. 어패류 소비도 22.5㎏에서 36.6㎏으로 늘기는 마찬가지다.
/온라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