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포럼 2014 5대 제언] SW·HW 융합기술 개발하고 혁신적 강소기업 육성하라

창의력 기반 진짜교육 '놀이' 통해 구축을

지능·자율성 로봇 원천·핵심기술 확보해야

기술혁신 위한 장기·체계적 정책 지원 필요

배리 아이켄그린 미국 UC버클리 경제학과 교수가 지난 22일 서울 동호로 신라호텔에서 '기술이 미래다-창조·융합·도전'을 주제로 열린 '서울포럼 2014'에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그는 "선진국과 신흥국 사이에 '샌드위치' 신세인 한국 경제가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독일처럼 강소기업을 키워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호재기자

지난 21~22일 이틀간 서울 동호로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14'에 참석한 세계적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과학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입을 모았다. 이를 통해 국내 산업의 지형도는 물론 경제구조 전반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통 제조업으로는 한계에 도달하고 있는 만큼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고 나아가 서비스를 넘어 솔루션까지 제공하는 산업기반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 과학기술의 발전과 이를 통한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어내기 위해 '서울포럼 2014'의 주요 연사들이 제시한 5대 제언을 소개한다.


1. 창의적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라

기술발전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육 시스템을 먼저 개혁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입시 위주의 경직된 한국 교육 시스템이 기술발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마이클 홀리 전 MIT 미디어랩 교수는 "기술혁신을 위해서는 창의성을 북돋을 수 있는 교육이 가장 우선돼야 한다"며 "좋은 교육환경이 창의적인 인재를 길러내는 기본 바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한국 교육의 창의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 "숫자와 공식을 강조하는 교육은 유연성이 떨어지고 학생들을 제한적 틀 안에 가두게 된다"며 "기술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는 창의력 기반의 진짜 교육을 '놀이'에서 찾아보라"고 제안했다. 아이디어를 가지고 놀고 게임하고 즐기는 과정 자체가 아이디어를 키우고 발전시키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윤종록 미래창조과학부 차관은 "과학기술 강국인 이스라엘에서 형식과 권위에 얽매이지 않고 끊임없이 질문하고 도전하는 후츠파(히브리어로 뻔뻔함·담대함을 뜻함) 정신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2. 융합기술을 개발하라

최근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서로 다른 분야의 기술을 접목한 융합기술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취약한 소프트웨어 분야를 하드웨어 분야와 융합해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홀리 전 교수는 "현재 한국 산업의 가장 큰 약점은 소프트웨어 산업"이라며 "한국 경제의 도약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산업을 육성하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융합해 동시에 모두를 발전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또 이번 포럼에서는 서로 다른 분야의 기술이 융합해 시너지를 내고 신시장을 창출하는 다양한 사례들이 소개됐다.

관련기사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김성완 서울대병원 의공학과 교수는 수술용 로봇에 파일럿 조종기를 연상시키는 스틱을 추가한 '파일럿 스틱 수술 로봇' 등 우주공학과 의학 간 융합 사례를 소개했다. 또 뉴즈성 중국 칭화대 정보과학기술원 부학장은 만성적인 에너지 부족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에너지 산업과 정보학이 융합된 '에너지 정보학'을 제시했다.

3. 로봇 산업에 주목하라

올해 서울포럼에서 주요 참석자들은 신기술이 열어갈 미래 유망시장으로 로봇 산업을 이구동성으로 꼽았다. 오준호 KAIST 대외부총장은 "앞으로 로봇 시장은 기존에 있던 기기에 지능성·자율성·이동성 등을 포함한 로봇 기술이 접목되는 형태로 형성될 것"이라며 "로봇 시장의 급팽창에 미리 대비해 원천기술 확보와 핵심기술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홀리 전 교수는 "로봇 시대는 이제 막 첫발을 내딛는 수준이지만 머지않아 산업 전반에 걸쳐 로봇이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면서 "한국은 앞으로 도래할 '로봇 시대'에 선도자로 나설 수 있을 만큼 핵심기술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며 한국 기술혁신의 미래를 로봇에서 찾으라고 조언했다.

4. 혁신적 강소기업을 육성하라

우리나라가 정보기술(IT), 자동차 등 기존 주력 산업에 이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해서는 혁신적 기술로 무장한 강소기업들을 육성하는 일이 시급하다는 조언도 잇따랐다. 배리 아이켄그린 UC버클리 경제학과 교수는 "성숙한 시장에서 성장과 혁신은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 주도하기 마련"이라며 "선진국과 신흥국 사이에 '샌드위치' 신세인 한국 경제가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독일처럼 강소기업을 키워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또 "신생 벤처기업이라고 해서 반드시 게임·모바일 등 IT 분야에 집중할 필요는 없다"며 "제조업을 포함한 역동적 중소기업으로 구성된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손성원 캘리포니아주립대 경제학과 석좌교수는 "한국 전체 고용의 90%를 담당하고 있는 중소기업이 무너진다면 일자리 창출도 불가능하다"며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정부가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지급보증을 늘리고 현지 중소기업을 지원할 지방 소형 은행을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 체계적 정부지원안을 마련하라

기술혁신을 위해서는 기업의 노력과 함께 정부의 지원도 필요하다는 게 포럼 주요 참석자들의 진단이다. 포럼 참석자들은 또 단편적이고 보여주기식 지원은 기술혁신에 별 도움이 안 되는 만큼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기술개발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기상 현대·기아자동차 환경기술센터장은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친환경차 기술경쟁력을 갖추게 된 일본 업체들이 현재 세계 친환경차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이 신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김용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장은 "정부가 기술개발 지원정책을 펼칠 때는 여러 부처와의 협업이 중요하다"며 "그래야 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김재홍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기업이 고부가가치 부품과 소재개발에 힘쓴다면 정부는 인재양성과 기술금융 등 입체적인 지원을 하고 규제혁파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