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다스텍 대표 여신시스템 해박 … 금융권 인사와 공모 가능성 커져

■ 전모 드러나는 3,000억 대출 사기

대기업 믿고 서류 심사만 은행 관리 소홀도 한몫


3,000억원 대출사기사건의 전모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이번 사건이 KT ENS 6개 납품업체를 회원사로 둔 스마트산업협회의 연루설로 번진 데 이어 코스닥 상장사인 다스텍의 김모 대표가 사기대출의 기획자 역할을 한 정황도 포착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 당국이 김 대표를 주목한 것은 그가 대표로 있는 다스텍의 2대주주가 특수목적법인(SPC) 설립을 주도한 KT ENS의 납품업체인 NS쏘울이라는 점을 파악하면서부터다.

지난 1991년에 설립된 다스텍은 2002년 코스닥에 상장했다.

NS쏘울은 2011년 유상증자 참여를 통해 다스텍 주식 200만주를 취득하면서 11.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다스텍의 김 대표도 스마트산업협회의 부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정리하면 스마트산업협회 이사 회원사인 회사(NS쏘울)가 협회 부회장 회사(다스텍)의 2대주주로 있는 셈.

의혹은 지분관계에서 그치지 않는다. 애초 태양광 관련 사업을 하던 다스텍은 NS쏘울이 지분을 취득한 바로 다음해인 2012년 스마트폰 액세서리로 업종을 바꿨던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저축은행에서 일한 김 대표의 이력이다.


당국도 김 대표가 금융회사의 여신 관련 시스템에 해박하다는 점을 주목하고 이번 사건과 관련해 내사를 벌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계에서는 KT ENS와 납품업체 간 공모만으로는 오랜 기간 사기행각을 지속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고 금융권 인사가 가담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해왔다. 실제 사기대출과 관련해 연체가 없었고 하나은행이 관리하는 SPC 신탁계좌에 KT ENS 명의로 입금된 은행이 모두 타행이라 계좌조회도 불가능했을 만큼 사기수법이 치밀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했다.

관련기사



그런 줄기에서 김 대표는 정황상 충분히 의심할 만한 요소를 두루 갖췄다.

여기에 다스텍의 주가흐름도 6일 KT ENS에 대한 사기대출사건이 전해지기 사흘 전인 3일부터 계속 하락하는 등 이상징후를 보여왔다.

일단 당국은 김 대표가 사기대출의 전모를 기획한 것으로 보고 검찰에 관련 내용을 넘긴 상태다. 대출자금흐름을 비롯해 스마트산업협회장이자 대출사기사건에 연루된 납품업체와 지분관계로 얽혀 있는 서모 중앙TNC 대표의 역할 등도 홍콩으로 도피 중인 전모 NS쏘울 대표가 잡혀야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기대출과 관련해 은행들의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관리가 기초부터 부실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에 피해를 본 은행의 경우 정상적인 거래관계에 따른 대출채권인지 실제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 세금계산서 등 관련 서류에만 의존했기 때문이다.

피해 규모가 1,624억원으로 가장 많은 하나은행은 대기업의 담보만 믿고 서류에만 근거해 작업을 한 탓에 이상징후를 감지하지 못했다.

우리은행의 경우 대출의 근거가 되는 외상매출담보채권이 정상거래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 회계법인을 통해 전수조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대기업이 납품을 받고 발급하는 세금계산서의 확인작업도 실제 작업을 맡은 담당자를 통해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통해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은행들이 KT의 외상매출채권변제가 확실하다고 보고 심사 과정에서 부주의했다고 볼 수 있다"며 "KT ENS와 협력업체의 매출 규모 대비 여신 규모가 지나치게 많은 것도 바로 그런 점에서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